A study on the Educational Views from ‘Natality’ by Hannah Arendt in “The Crisis of Education”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81 (81):505-526 (2016)
  Copy   BIBTEX

Abstract

‘탄생성’ 개념은 아렌트 철학의 중요 개념 가운데 하나이고 아렌트(H. Arendt)의 주요 저서인 『인간의 조건』과 「교육의 위기」의 핵심적인 공통분모이다. 아렌트는 『인간의 조건』에서 인간 삶의 실존적 조건으로서 탄생성을 말하고, 이것을 「교육의 위기」에서 적용하고 있다. 그런데 아렌트는 「교육의 위기」에서 탄생성의 보존을 말하면서 교육의 보존 역할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보존(혹은 보수)이라는 용어가 함의하는 것에 따르면 마치 교육과 관련된 것들을 행하는(결정) 주체가 있어서 그 결정에 의해 진행되고 통제되어야 한다는 것이고, 이런 의미에서 아렌트의 ‘교육의 보존’ 역할 주장은 국정교과서 결정과 같은 국가 통제를 지지하는 것처럼 여겨진다. 이처럼 탄생성 개념이 끊임없는 새로움과 변화를 담지하는 혁명성을 보이는 반면, 탄생성의 보존은 그 자체 모순적인 용어인 것처럼 느껴진다. 마스켈라인(J. Masschelein)은 근대 교육의 강제성을 비판하는 것으로 평가하여 아렌트의 탄생성 개념을 교육학적으로 수용하였다. 그러나 탄생성의 보존이라는 표현은 자체모순적인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 해결의 관점을 찾아보고, 국가 중립성과 보편성에 근거한 통제를 주장하는 관점을 비판하기 위해 연구자는 다음과 같이 글을 구성하였다. 제2절에서 우정길의 논의를 통해 전통 교육의 강제성을 비판하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 아렌트의 탄생성 교육을 제시하는 마스켈라인의 주장을 정리하겠다. 그리고 그러한 의의에도 불구하고 아렌트 교육의 보존(보수)성이 갖는 문제를 지적하는 우정길의 논의에 대해 그 근거를 중심으로 고찰하겠다. 다음 3절에서는 논란의 근거가 되는 아렌트의 「교육의 위기」의 내용을 정리하면서, 아렌트가 교육의 위기를 극복하는 대안으로서 제시하는 탄생성의 보존 주장과 권위의 의미를 탐색하겠다. 이를 바탕으로 마지막 4절에서는 2절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교육’에 대한 이해의 관점을 제시하면서, 아렌트의 탄생성 교육의 성격을 분명히 하고 새로움의 보존의 의의를 짚어보고자 한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518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Nietzsche and the Purpose of university education. 이상엽 - 2017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79:69-91.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Essay Writing in School Moral Education. 서은숙 - 2007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65):125-154.
A Study on the Issue of the Globalization․Multicultural Age and Direction of Ethics Education. 방영준 - 2010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77):113-135.
A Study of Education for Good Moral Character ―Centering on Edmund L. Pincoffs's Virtue Ethics―. 윤혜진 - 2009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51 (51):323-345.
Meaning and Direction of Value Education in College. 이원봉 - 2016 - The Catholic Philosophy 26:85-110.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7

Downloads
10 (#1,481,570)

6 months
6 (#901,624)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