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자(孟子)』「호연지기(浩然之氣)」장(章) 주석사의 전개 양상 연구 : 조기(趙岐)와 주희(朱熹)를 중심으로

Philosophical Investigation 54 (null):65-100 (2019)
  Copy   BIBTEX

Abstract

조기와 주희는 「호연지기」장 주석사의 전개 양상에서 두 축을 형성한다. 무엇보다도 「호연지기」장의 “其爲氣也至大至剛以直養而無害”의 구두 방식은 두 사람의 차이를 극명하게 보여주는 지점이다. 조기의 구두방식[“其爲氣也, 至大至剛以直, 養而無害”]은 호연지기를 그 자체로 크고 강하고 곧은 기로 해석한다. 이 입장은 송대 이정으로부터 당대 노사광까지 광대한 영향을 미친다. 이에 의거해보면, 양기의 방법은 내면의 호연지기를 그대로 드러내는 데 있다. 이 방법은 송대 이정과 다소 차이가 있다. 그렇지만 이정 역시 호연지기를 그 자체로 완전한 기로 설정하고 있으며, 또 내면의 이치를 확인하는 것이 호연지기를 기르는 데 관건이다. 이 같은 방식은 조기와 동일한 전제를 갖고 있다. 이에 반해 주희의 구두 방식[“其爲氣也, 至大至剛, 以直養而無害”]은 호연지기를 그 자체로 완전한 기로 해석하지 않는다. 이 입장은 조선성리학자 이이에게 큰 영향을 미친다. 양기의 방법은 외면의 도의로써 호연지기를 완전하게 확충하는 것이다. 이이는 이 방법을 계승하여 호연지기를 개인의 차원에서 국가 기강의 차원으로까지 확장해 나간다. 그리고 이이는 외면의 도의를 제도적 차원까지 확장해 나간다. 이 같은 논리는 주희로부터 발전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297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글로벌 시대의 老莊哲學. 이강수 - 2010 - 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 34 (34):115-132.
주희철학에서 ‘환경윤리’의 이론 정립 가능성과 환경윤리교육. 권상우 - 2008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49 (49):145-171.
A Discorse upon the 'All-Embracing Force(浩然之氣)' of Song Si-yeol. 우경섭 - 2008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48 (48):117-134.
南塘 韓元震의 人物性異論에 대한 硏究. 형려국 - 2008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56 (56):97-128.
존재론적 관점으로 본 『중용中庸』의 중中 개념. 황경선 - 2019 - Philosophical Investigation 55 (null):1-30.
The Aspects of Discourse in Moral Instruction in School. 이지명 - 2008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68):273-299.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2

Downloads
17 (#1,158,190)

6 months
7 (#728,225)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