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논문의 목표는 행복한 인간에 대한 견해를 제시하는 것이다. 논자는 자기충실성(integrity)을 가지고 사는 사람이 행복한 인간이라고 주장할 것이다. 논자의 견해에서 자기충실성을 가지는 사람은 특정한 가치나 원리에 헌신되어 외부의 압박이 있을지라도 그 가치나 원리를 포기하지 않는 사람이다. 자기충실성을 가진다는 것이 무엇인가를 제시하기 전에 우선 기존의 행복론에 대한 비판적 논의를 전개한다. 널리 알려졌듯이, 철학 내에서 행복에 관한 세 가지 주요 이론은 쾌락주의, 욕구만족이론, 객관적 명부 이론 등이다. 논자는 이 세 가지 이론들이 나름대로 매력을 지녔지만 충분히 만족스럽지 못하다고 주장한다. 다음으로 자기충실성을 가지고 살아가는 것이 무엇인가에 대해 설명한다. 논자의 견해에서 자기충실성을 가지기 위해선 세 가지 조건이 필요하다. 첫째, 어떤 가치나 원리에 헌신되는 것이다. 둘째, 자신의 헌신의 대상인 가치나 원리에 따라 행동하는 것이다. 셋째, 열린 태도로 그 헌신을 유지하는 것이다. 자기충실성의 조건을 설명한 후 논자는 가치나 원리에 관한 제한에 대해서 논의한다. 다양한 가치나 원리가 자기충실성을 위한 대상이 될 수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아무 것이나 다 그 대상이 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첫째, 그 가치나 원리는 자신의 진정한 원함에 의해 선택된 것이어야 한다. 둘째, 그 가치나 원리는 삶에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않을 만큼 하찮아선 안 된다. 셋째, 그 가치나 원리에 따라 행동하는 것이 자기파괴적인 것이 되어선 안 된다. 넷째, 그 가치나 원리는 사악한 것이어선 안 된다. 이 논의 후 논자의 주장에 대한 가능한 반박 및 그에 대한 대응에 대해 논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