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nt’s Conception of ‘Recht’

Korean Journal of Legal Philosophy 21 (3):53-88 (2018)
  Copy   BIBTEX

Abstract

『윤리형이상학』 중 제1편 『법이론의 형이상학적 기초원리』(이하 『법이론』)가 국내 학계를 대표하는 학자들에 의해 다양한 버전으로 제공되고 있다는 사실은 매우 고무적인 일이다. 본고의 근본적 의도는 칸트 법이론을 공부하고자 하는 초심자들, 특히 법률가들이 『법이론』의 국문 번역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는 길잡이가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고는 먼저 윤리론적 법칙수립(입법)에 대비되는 법리론적 법칙수립과, 행위의 도덕성에 대비되는 행위의 합법성과 같은 칸트 법이론의 기초개념을 살펴본다. 나아가 『법이론』에 등장하고 있는 ‘외적 자유’의 개념을 분석한다. 칸트의 법의 원리는 외적 자유의 원리로 이해되기도 한다. 그런데 이때 외적 자유의 개념은 자주 오해되고 있다. 『법이론』 문헌에서 외적임의 개념은 이원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는 명백히 구별되어야 한다. 외적 자유의 원리에서 외적임의 개념은 대상이 의사의 외부에 있는 경우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행위의 동기가 의무의 이념 이외의 것인 경우를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외적 자유 개념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본고는 칸트 법 관념의 핵심이 되는 법의 보편적 원리인 각인의 자유의 공존가능성 원리를 도덕의 여건을 제공하는 관념으로 설명한다. 법(Recht)의 개념은 도덕과 구분되는 영역에 있는 개념이 아니라 도덕에 토대하고 있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더불어 ‘recht’나 ‘Recht’와 같은 『법이론』 번역서에 등장하는 번역어 문제를 최소한으로 다룬다. ‘Recht’는 주로 ‘법’으로 번역되고 있는데, 이에 대한 대안적 번역어들인 ‘올바름’, ‘권리’를 각각 살펴보면서 칸트 『법이론』에서 ‘Recht’의 용어를 어떻게 이해하면 좋은지에 대하여 고민해 보고자 한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423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The Schematics and Languages in Kant’s Philosophy. 김영례 - 2020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9:41-62.
Happiness and the External Goods. 전헌상 - 2018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34:33-56.
Study on the Origins of Kant’s Virtue Theory. 이원석 & 김태경 - 2017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78:29-47.
Foundation of Legal Ethics. 윤혜진 - 2007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45 (45):321-341.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2

Downloads
8 (#1,587,259)

6 months
7 (#736,605)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