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w(法) and Enforcement(力) in the Thought of Sang Yang(商鞅)

Korean Journal of Legal Philosophy 20 (1):243-264 (2017)
  Copy   BIBTEX

Abstract

과연 폭력이 때로는 불가피한가? 만일 그렇다면, 법은 불가피한 폭력의 일종으로서 이해될 수 있는가? 본고는 이와 같은 현대 법철학적 근본 문제들이 고대 법가(法家) 상앙(商鞅)의 사상에서 어떻게 중첩되어 드러나는지를 살펴본다. 상앙의 법치는 근본적으로 힘(力)에 기초한다. 그리고 상앙은 힘의 통치만이 정치사회적 질서(治)를 가져온다고 주장한다. 이에 상앙은 두 가지 정당화 논리를 제공한다. 이 둘을 살펴보는 것이 본고의 주제이다. 첫째, 상앙은 역사적 상상력을 통해 법의 기원을 추정함으로써 역사 발전 과정상 법치 도입이 필연적이었음을 주장한다. 즉 그는 역사적 상상력에 호소하여 법치 도입의 불가피성을 정당화한다. 둘째, 상앙은 법치의 정당성을 궁극적으로 공멸의 방지에서 찾는다. 그의 정당화 논리를 종합하여 말하자면, 법치는 인류 전체의 멸망을 피하기 위해 역사 발전 과정상 최종적으로 선택된 공동체적 대응이라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앙의 입장은 가공(可恐)할 함의를 지닐 수 있다. 왜냐하면, 정치사회적 혼란을 막고 질서를 구현하기 위해 다수에 대한 폭력이 정당화될 수 있다는 논리가 숨겨져 있기 때문이다. 본고는 이 함의를 특히 유가(儒家)인 순자(荀子)의 사상과 비교함으로써 드러내 보이겠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459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荀子와 先秦儒家 樂論의 成立에 대한 연구. 정병섭 - 2010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64 (64):349-382.
The Concept of Categorization and Ritual Propriety in Xunzi. 정재상 - 2017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78:193-217.
Shang Yang: quan ba ren sheng.Yihua Ding - 1996 - Wuhan: Changjiang wen yi chu ban she.
Ritual and Law in Xunzi. 강지연 - 2019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87:1-19.
『孟子』의 『書』 인용에 관한 연구. 이은호 - 2013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76 (76):215-238.
漢代 尙書學의 成立과 政治的 意義. 정병섭 - 2009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57 (57):247-275.
Did Xunzi (荀子) really Approve of the Way of the Hegemon (覇道)? 김도일 - 2019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39:1-27.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2

Downloads
13 (#1,332,544)

6 months
11 (#364,844)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