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논문은 성에 대한 존재론적 주장들을 검토하여 성이 존재일반에 내 속한 일탈이자 모순의 핵심임을 밝히고, 그것의 정치적 함의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 등장하고 있는 존재론과 실재론들은 담론과 문화를 물질보다 우선시하는 지배적인 철학 담론에 대한 반응으로 생각된다. 특히 페미니즘 담론 내에서도 주디스 버틀러를 비롯한 포스트구조주의와 사회구성주의에 대한 대안으로 다양한 존재론들이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페미니즘의 핵심 개념인 성과 성차, 섹슈얼리티에 대해서 동시대의 존재론들이 어떻게 다루고 있는가에 관해서는 거의 논의되지 않고 있다. 존재론이 존재들을 가능하게 하는 원리들을 규명하는 것이라면 성에 관한 존재론도 마땅히 다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우선 최근 물질과 과학을 존재론적으로 구성하는 신유물론의 몇몇 주장들을 검토하고 그것이 성의 존재론에 어떤 정치적 함의를 주는지 확인한다. 그리고 성과 주체의 동시발생을 그 시작부터 집중적으로 논의해 온 정신분석이 최근 부상하는 존재론과 어떻게 대결하고 어떠한 방식으로 성의 존재론을 논하는지 살펴본다. 그럼으로써 인간중심주의로 퇴행하거나 물질을 간과하지 않고도 성, 주체, 물질, 담론을 다룰 이론을 위한 단초를 마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