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blem of individuation in Nietzsche’s The Birth of Tragedy

Modern Philosophy 11:55-84 (2018)
  Copy   BIBTEX

Abstract

본 논문은 『비극의 탄생』을 모든 문화적 형성의 기본 문제라 할 수 있는 개체화 문제의 관점에서 재독해하고자 한다. 『비극의 탄생』의 재독해를 통해 드러날 수 있는 개체화의 가장 기본적인 사항은 개체와 개체화의 과정은 서로 구조적으로 분리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니체는 개체적 주체와 이 주체가 개체화되는 과정을 분리시키는 사고방식을 비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논문은 ‘디오뉘소스적-아폴론적’이라고 부를 수 있을 이 개체화 과정의 구조가 ‘개체를 발생시키는 개체화’와 ‘개체 속에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개체화’의 기본적인 두 차원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보여줄 것이다. 전자의 차원은 불연속성과 비가역성을 기초로 하는 상징과 비유의 메커니즘을 통해 구성되고, 후자의 차원은 직접적 긍정과 탈주체화를 특징으로 하는 변신(變身)의 과정을 중심으로 한다. 두 차원은 개체화라는 하나의 과정의 두 측면을 이룬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139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Dialectic of Enlightenment as Genealogical Critique. 정진범 - 2019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41:145-175.
A Study on the Problem of the Individuation at Gilles Deleuze. 신지영 - 2016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74:75-101.
The Trolley Problem for Wonhyo and the New Normative Ethnical Theory. 정진규 & 김원명 - 2017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84 (84):215-236.
Simondon's theory of individuatin -Between Bergson and Deleuze-. 황수영 - 2009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53 (53):199-224.
Choi Han-Gi’s Giryunseol and the theory of gravitation. 김숙경 - 2012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71 (71):119-156.
Towards a Bergsonian Theory of Individuation. 주재형 - 2020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44:143-175.

Analytics

Added to PP
2024-03-13

Downloads
5 (#1,752,423)

6 months
4 (#1,252,858)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