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뢰즈에서 창조의 세 전선(戰線) - 철학, 과학, 예술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27:103 (2016)
  Copy   BIBTEX

Abstract

들뢰즈는 생명과 차이로부터 철학, 과학, 예술의 본성을 설명한다. 통상적으로 그것들은 각각 반성하고, 이해하고, 제작하는 것으로 달리 이해되지만, 들뢰즈가 보기에 그것들은 모두 창조의 작업이다. 이 분야들은 각각 고유한 대상을 창조한다. 개념, 함수 그리고 감각적 집합체가 그것이다. 들뢰즈는 어느한 분야가 배타적으로 존재, 세계, 자연에 대해 말할 수 있는 특권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이것들은 모두 혼돈의 단면을 잘라 변이가능성(variabilité)을 가시적으로 만드는 작업이다. 개념은 변동(variation)을 포착하고, 함수는 변수(variable)를 확립하고, 예술은 다양체(variété)를 설치한다. 그리고 각각은 개념적 등장인물, 부분적 관찰자, 미학적 형태를 창조한다. 반면에 각각의 고유성에 못지않게, 상호 간섭이 존재한다. 자연 안에 내재하는 지각소(percept)와 변용소(affect)에 힘입어 개념, 함수, 감각 집합체는 서로를 만들어내도록 요구하고 서로 참조한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459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The negation of svabhāva in Madhyamaka School. 하현목 - 2014 - The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42 (42):411-434.
The Metaphysical Subject and Solipsism. 박정일 - 2022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50:247-277.
The Problem of Xing and Qizhi in Cheng Yi's Philosophy. 박승원 - 2011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31 (31):7-32.
An Ontological Interpretation of “WE”. 이섭 - 2017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19:237-264.
주희철학에서 ‘환경윤리’의 이론 정립 가능성과 환경윤리교육. 권상우 - 2008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49 (49):145-171.
Aspects of the Use of Wisdom and Brightness in the Four Books. 임종진 - 2022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9:387-409.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2

Downloads
11 (#1,428,354)

6 months
5 (#1,071,419)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