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thinking ‘Situated Knowledges’ Beyond Relativism: From the Fragmented Partiality to the Interconnected Partiality

Korean Feminist Philosophy 19 (null):59-83 (2013)
  Copy   BIBTEX

Abstract

이 논문에서는 다나 해러웨이의 “상황적 지식들”에서 제시하는 ‘부분성(partiality)'의 의미가 상대주의의 부분성 개념과 어떻게 다른지 분석하였다. 보편주의는 부분성을 포용하지 않지만 상대주의와 상황적 지식은 모두 모든 지식과 관점의 부분성을 인정한다. 그러나 상대주의에서 보여지는 무관심에 기반한 파편화된 ‘부분성’의 개념보다는 상황적 지식들에서 제시하는 상호의존성, 변화가능성을가진 ‘부분성’의 개념이 중요함을 검토하였다. 즉, 대화를 위해서는 단지 각자의 관점의 부분성을 인정하는 것에 그치는 것은 부족하며 다른 관점들의 부분성과의 연결성을 인식하고 만들어가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해러웨이의 '상황적 지식들’은다른 입장들 사이의 연관성을 강조하기는 하였으나 어떻게 무관심에도 불구하고대화를 이끌어낼 수 있을지, 그리고 어떻게 다른 이의 경험을 그들의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을지에 관해서는 더 발전시킬 필요가 있었다. 이러한 측면에서 루고네스의 “‘세계’-여행”의 개념은 부분성의 감각을 잃지 않으면서 다른 이들의 시각을 그들 자신의 맥락에서 상상하는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상황적 지식들”의 논의를 보다 강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459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Bergson’s mystic and Deleuze’s sorcerer. 조현수 - 2021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48:55-79.
Professional Ethics in terms of Confucianism. 김형석 - 2014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80 (80):7-34.
A Study on Moral Emotion Education in Moral Education. 박형빈 - 2009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74):283-317.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2

Downloads
12 (#1,379,631)

6 months
9 (#511,775)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