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中華와 夷狄의 차이를 분명히 하는 왕부지의 華夷論은 분명 그의 기철학에 그 근원적 뿌리를 가지고 있다. 왕부지는 인간이 불선한 이유를 氣가 아니라 質에서 찾고 있다. 質은 형질이라는 측면에서 물질적으로 외화된 상태로서 기와 달리 이미 고정화되고 규정화된 상태로 기에 비하여 구체화된 사물의 질료적 성격을 가리킨다. 또한 이 質은 氣를 담는 그릇으로서 ‘器’의 의미를 가진다. 왕부지의 관점에 따르면, 각각 개별 사물의 기질지성이 곧 형이상의 도이며, 기질지성 이외의 보편적 본연지성은 단지 추상적인 이념일 뿐, 현실세계에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 된다. 이와 같은 그의 器・氣의 분리적 시각은 중화와 오랑캐, 즉 夷와 夏를 본질적으로 구분하고 차별할 수 있는 결정적인 근거로 이해될 수 있다. 곧 中華人과 오랑캐가 각각 기질이 다르다면, 그 기질에 따른 형이상의 도 또한 다를 수 없게 된다. 뿐만 아니라 이 둘을 서로 아우를 수 있는, 기질지성 이전의 세계 보편의 본연지성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중화와 오랑캐는 상호 통일될 수 없는 평행적 관계 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것은 왕부지의 리기론이 주희와 달리 실재론적 관점에서 기일원론적 성격을 보이고 있음에도 차별원리의 절대화라는 보수적 시각을 보이는 이유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