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ults for ' Luoshu'

5 found
Order:
  1.  33
    The Luoshu Magic Square as Evidence of the Rational and Mathematical Orientation of the Chinese Style of Thinking.Natalya V. Pushkarskaya - 2019 - Russian Journal of Philosophical Sciences 62 (6):151-159.
    This article considers the meaning of the ancient Chinese magic square Luoshu. It is known that this square is the most ancient of this type of squares. The importance of the magic square in the philosophical tradition and in the whole culture of China is large. The ancient understanding of number differs from the modern one by its dual character, combining the features of philosophical symbolism and mathematical constructions. Unfortunately, modern interpretations of the Luoshu as well as other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citations  
  2.  6
    Hetu’-‘Luoshu’'s laws of changes and Ilbu' ‘Right Change. 전광수 - 2017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79:295-323.
    이 글은 우주의 본체와 상에 관한 연구이며, 구체적으로 하도낙서를 통한 상수원리와 괘상의 변화과정, 나아가 一夫????正易????이 나오기까지의 우주변화론에 관한 담론이라 할 수 있다. 실제 우주론에 관해 동양의 수많은 성현들에 의해 河圖·洛書, 周易 등을 통해 우주의 실체와 본질에 관한 많은 연구가 있었다. 그러나 구체적으로 우주가 변화하는 궁극의 힘은 무엇이며, 그 근원적 힘은 어떻게 천지만물을 조화롭게 낳게 하고 자라게 하는지 변화의 실제 모습을 설명하는 이는 많지 않았다. 그런데 一夫가 황극을 말하면서 無極, 太極, 皇極이라는 우주 본체론에 관한 개념이 논변되자 우주와 인간, 그리고 지구상의 모든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5
    Hetu-Luoshu and Liu-mu’s Mathematical Theories of Zhou-yi. 주광호 - 2016 - 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 46 (46):1-35.
    주자의 에 관한 관점은 주로 유목의 영향 하에 형성되었다. 유목은 ‘易數’ 즉 ‘수리의 보편타당성’이 의 본질이라고 보았으며, 이는 주자에게 그대로 계승ㆍ발전된다. 유목의 河洛學은 『주역』 경전에 대한 해석의 차원을 넘어 『주역』의 근원이 어디에 있는가에 대한 탐색이었으며, 따라서 종래의 ‘경전 해석’이나 ‘괘기론적 역학’과는 달리 세계의 본원과 본질에 대한 물음이라는 성격을 갖는다. 그가 본 세계의 본원과 본질은 數理였으며 이는 세계에 대한 모사요 상징인 象보다 우선하는 것이었다. 주자는 유목의 數理를 다시 ‘理’로 일반화 하여, 이 세계의 균형과 질서를 설명하는 근거로 삼고자 하였다. 만약 유목과 주자의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4.  14
    A study on the Hetu(河圖)-Luoshu(洛書) of I Ching and the first volume of Xici(繫辭) chapter 9.Lim Byeong-Hak - 2017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83:117-140.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5.  10
    The Philosophical Meaning of Square and Circle(方圓), Being Based on the Hetu-Luoshu(河圖洛書) of the Book of Changes. 임병학 & 곽우철 - 2014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74 (74):31-52.
    본고는 『주역』의 河圖洛書論에 근거하여 선진유학에서 논의된 方圓(規矩)의 역학적 의미를 고찰하였다. 『주역』에서는 天地之數와 大衍之數를 통해 天地之道를 표상하는 河圖․洛書를 논하고, 이것을 方圓으로 상징됨을 밝히고 있다. 天地人 三才之道로 논한 『주역』의 학문적 체계에서 天道는 시작과 끝을 알 수 없는 영원한 시간의 세계이기 때문에 圓으로 상징하고, 地道(人道 포함)는 上下 四方으로 확산되는 공간의 세계이기 때문에 方으로 상징하였다. 특히 『맹자』에서 논한 ‘規矩는 方圓의 지극함이오 聖人은 人倫의 지극함이다’는 선진유학에서 方圓의 철학적 의미를 직접 밝힌 것으로 하도․낙서와 方圓의 관계를 이해할 수 있다. ‘그림쇠는 방의 지극함이다’는 시작과 끝이 없는 영원한 시간의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