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ults for ' Silhak'

11 found
Order:
  1.  13
    Yeoam Shin Gyeongjoon and Silhak Mind.Ki Ho Bae - 2019 - EPOCH AND PHILOSOPHY 30 (1):141-169.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13
    A Documental Archaeology as the Practical Schools of Confucianism in Late Ming and Early Qing Dynasty and the Formation of Joseon Silhak in the 18th Century - With The Seongho-school of Kiho-Namin and the Bukhak-school of Noron. 박용태 - 2022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9:119-148.
    청대 고증학은 고전과 경전의 복원(復原)을 통한 법고창신(法古創新) 온고지신(溫故知 新)의 방법론을 주창한 고전주의 학파이다. 하지만 18세기 고증학을 수용하였던 조선의 유학계는 협소한 자구(字句) 해석과 문자학적 훈고(訓誥)에 집중하는 고증학의 경전고변 이 학문적 실용성이 있는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며 또 하나의 지적유희에 젖어들어 훈고 적학 공리공론으로 고증학이 빠져들 것이라는 우려를 떨쳐내지 못하였다. 하지만 조선 중, 후기 유학자들이 고증학 전반에 대하여 비판적인 시각을 견지했던 것 은 아니다. 명청 교체기 초기 고증학의 명대 3대 유로(遺老)인 고염무, 황종희 왕부지 등 에 대해서 조선의 유학계에서는 매우 긍정적이고 우호적인 입장을 모여주는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18
    A Study on Conceptual Suitability or Unfitness of ‘Silhak’. 강정훈 - 2013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88):103-122.
    실학實學은 반주자학 내지는 탈성리학의 성격을 가진 조선조 중후기에 등장한 사회사조로서 실용적이고 개혁적인 양상을 보였으며, 나아가 민족적 각성과 근대적 지향을 드러내는 특징을 가진다. 아마도 이런 정도가 현재 실학이라는 개념이 갖는 의미의 일반일 것이다. 하지만 유감스럽게도 이러한 의미는 조작의 소산일 따름이다. 이는 문헌을 통해서도 금방 확인될 수 있다. 즉 실학의 시대배경인 조선조의 대표적 기록문헌인 『조선왕조실록』을 놓고 그 용례와 빈도를 살피면 된다. 결과적으로 볼 때 적어도 조선시대에는 실학이란 용어가 그다지 많이 사용되지 않았다. 또한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대개는 시문을 다루는 사장학詞章學에 대비하여 경학經學이라는 의미로 (...)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4.  15
    Seol Tae-hee's Theory of Silhak and Criticism of Joseon Neo-Confucianism.Yun Kyeong Kim - 2021 - 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 55:151-196.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5.  10
    The Influence of Taoism Philosophy on Science and Silhak of Late Period in Joseon Dynasty – Focusing on Yi-Ik’s Acceptance and Taoistic comprehension of Western Science -. 이진경 - 2015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75 (75):79-114.
    조선후기 일군의 학자들은 도가철학을 인식의 틀로 활용하여 서양과학을 수용하고 이해하였다. 사실 도가의 기철학은 동양의 전통 과학과 천문학이 형성ㆍ발전하는 과정에서 사상적 원류로 기능하여 왔으며, 서양과학 수용과정에서 서양과학에 상응하는 학문으로 인식되었다. 대표적으로 조선후기 이익의 우주론과 서명응의 선천역학, 홍대용의 과학적 세계관은 도가의 기철학을 인식 기반으로 자연 세계에 대한 인식 전환을 시도한 사례들이다. 그리고 자연에 대한 이들의 인식 전환은 현실질서의 변화에 대한 요구로 이어졌다. 특히 성리학적 도덕원리와 도가의 기철학이 절충된 형태인 이익의 우주론에서 서양의 천문과학은 기철학의 주요 개념에 대응하여 설명되어졌다. 이와 같은 이익의 우주론은 과학의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6.  20
    Widang Jeong In-bo’s Empathy of the Sincere Mind and Governing a Nation and Saving the People. 韓正吉 - 2023 - 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 59:207-243.
    This article reexamines Jeong In-bo’s lifelong studies and achievements from the perspective of understanding him as a statesman. Keenly empathizing the pain of the people who lost their nation, he recognizes that it was the task of the times to reclaim national sovereignty and relieve the people from suffering. He finds the cause of the collapse of Joseon inside Joseon, and diagnoses that all problems originated from ‘thinking of promoting one’s own interests (自私念)’. What he suggested to resolve these problems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7.  16
    A Study on the Learning and Practice of Songdang Park Yeong and the Criticism of Junior Scholars. 朴暲原 - 2023 - 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 59:35-85.
    This paper investigates the philosophical characteristics of Songdang Park Yeong, who was an early Dohak scholar in the Joseon Dynasty and played a huge role in making the school of Neo-Confucianism in the regions along the Nakdong River. Park Yeong and his Neo-Confucianism has not been paid much attention to until recently. Significant studies on the school in Neo-Confucianism in the regions along the Nakdong River have been published lately, but research on Park Yeong remains as rare as before. He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8.  15
    Korean Neo-Confucian Thought.Michael C. Kalton - 2017 - In Young-Chan Ro (ed.), Dao Companion to Korean Confucian Philosophy. Springer Verlag. pp. 17-46.
    This paper reviews the history of Korean Neo-Confucian thought from its introduction in the late fourteenth century until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With the founding of Joseon in 1392 the Neo-Confucian synthesis that had swept China was adopted in Korea, replacing the Buddhist establishment of the previous dynasty. The introductory section discusses the major figures in this transition and their grasp of the new metaphysical framework and ascetical theory which now supplemented the traditional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Export citation  
     
    Bookmark  
  9.  58
    Did Shilhak School in Chosun Dynasty Make a settlement of Sung-li Debate?Dong-hee Lee - 2008 - Proceedings of the Xxii World Congress of Philosophy 9:279-290.
    This article has the purpose of examining the commentation that Sung-ho Yi Ik and Da-san Jung Yak-yong developed of Sa-chil Debate (사칠논쟁) Which was a philosophical debate in Chosun Dynasty. Sa-chil Debate began from Toe-gye Yi Whang and Ko-bong Gi Dae-sung and soon as a result of Yul-gok Yi Yi and Woo-gae Sung Hon repeating the debate, It appeared as a kind of philosophical theme. After that, Yul-gok and Toe-gye's students formed a kind of school. They also made the debate (...)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0.  29
    The Analects of Dasan, Volume 1: A Korean Syncretic Reading by Jeong Yakyong. [REVIEW]Dobin Choi - 2017 - Philosophy East and West 68 (1):1-4.
    Dasan Jeong Yak-yong has been revered as one of the national intellectual heroes in Korea. Dasan's dramatic life career—acclaimed as a young elite government official, beloved by the King, but exiled for 18 years due to his family's association with Catholicism —is common knowledge to contemporary Koreans, as he is a frequent character on various television dramas, and his birth and death sites are places of pilgrimage. Dasan's cultural fame is underpinned by two intellectual pillars: one is his practical theories (...)
    Direct download (3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1.  10
    A Study on the Traditional ‘Ak-ron樂論’ of Oriental Thought - Focused on Jeong Yak-yong"s “『Akseo Gojon樂書孤存』” -. 이기호 - 2022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164:165-211.
    이 연구는 정약용丁若鏞(1762~1836)의 『악서고존樂書孤存』을 통해 중국과 한국을 중심으로 하는 동양의 고대 ‘악론樂論’을 성찰해보려는 시도이다. 고대로부터 한자와 유교를 공유한 문화권에서는 음악을 단순히 유희의 대상으로 삼지 않고 인간의 내면과 관계되는 것으로 인식하였으며, 그것이 개인과 사회에 미치는 공효功效에 주목하였다. 고대인들은 ‘악樂’이 인간의 내면으로부터 나오는 것으로 간주하고 이를 인간의 수양과 교화의 중요한 수단으로 여겼다. 나아가 ‘악’은 선정善政을 이룩하는 치도治道의 핵심으로 자리잡게 되었는데, 이것이 바로 공자孔子(B.C.551~B.C.479)의 ‘예악정치禮樂政治’ 사상이다.BR 이러한 음악관이 형성된 것은 그 시기를 특정하기 어려울 정도로 매우 오래된 일이다. 또 그것은 선진先秦시대 이후 진한대秦漢代를 거쳐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