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Grammatical Rules for Kaccāyana-Vyākaraṇa and Moggallāna-Vyākaraṇa with reference to Pāli Tense

The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51 (51):139-176 (2017)
  Copy   BIBTEX

Abstract

본 연구는 대표적인 빠알리어 전통문법서인 『깟짜야나 문법(KV)』과 『목갈라나 문법(MV)』이 동사의 시제를 어떻게 다루는지 알아보기 위해 관련된 문법규칙을 분석한 것이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KV와 MV 모두 빠알리어 시제를 3종의 과거, 현재, 미래 이렇게 총 다섯 가지로 동일하게 구분하지만, 전개방식에 있어서 KV는 각 시제의 정의와 해당 시제 어미를 다른 규칙으로 분리해서 다루고, MV는 한 규칙으로 묶어 제시한다. 둘째, 두 문법서가 제시하는 시제의 용어가 그 시제를 정의하는 핵심단어라는 점은 동일하지만, 서로 다른 용어를 사용한다. 과거시제의 일반적인 용어로 KV는 atīta를, MV는 bhūta를 사용하고, 세 가지 유형으로서의 과거시제 용어도 같지 않다. 현재시제의 용어로 KV는 paccuppanna를, MV는 vattamāna를 사용한다. 미래시제의 용어로 KV는 anāgata를, MV는 bhavissati를 사용한다. 셋째, 두 문법서는 규칙의 간결성을 위해 시제 어미군의 용어를 사용하는데, KV가 ajjatanī, hiyyattanī, parokkhā, vattamānā, bhavissantī와 같이 그 시제를 의미하는 단어를 사용한다면, MV는 ī-ādayo, ā-ādayo, a-ādayo, tyādayo, ssatyādayo와 같이 시제 어미군의 첫 어미에 ‘ādi’를 결합한 실용적인 단어를 사용한다. 넷째, 시제 어미군의 활용범위에 대해 KV는 해당 시제만 제시하는 반면, MV는 화자의 의지에 따라 시제 간에 시제 어미들을 바꾸어 사용하는 ‘시제불일치(kālabyattayo)’의 경우와 시제와 관계없는 문장 내 활용의 경우도 제시한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174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A Study on the Systemicity of Moggallāna-vyākaraṇa. 김서리 - 2012 - The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36 (36):255-285.
Three Propositions of Duty in Kant’s Groundwork of Metaphysics of Moral. 강지영 - 2022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51:59-83.
A Consideration about Dharmakīrti's Condition of ‘avisaṃvādin’. 권순범 - 2013 - The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38 (38):27-56.
Later Wittgenstein’s View on Human Beings as Ritual Beings. 하영미 - 2018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22:25-50.
Analysis of Three Fundamental Issues of Environmental Ethics - International, Intergenerational, Interspecies Issues -. 윤혜진 - 2010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58 (58):5-24.
Ethical Arguments and Prospects of Utilizing Big Data in Information Age. 송선영 & 김항인 - 2016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108):227-248.
Integrity for a happy life. 한곽희 - 2018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36:109-134.
The Problem of Distinction Between ‘weak AI’ and ‘strong AI’. 김진석 - 2017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17:111-137.

Analytics

Added to PP
2023-02-28

Downloads
9 (#1,527,251)

6 months
5 (#1,050,400)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