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Momentum of closer look into ‘Desire’ through paintings of the late Joseon Dynasty - Focus on Shin Yoon Bok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77 (77):403-435 (2014)
  Copy   BIBTEX

Abstract

이 논문은 조선 후기 신윤복 풍속화를 문예사상과 관련해서 욕망 긍정의 관점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지금까지 신윤복 풍속화의 선행연구는 대체로 양식사 위주로 진행되어 왔다. 양식사 위주의 연구는 작가의 주체성과 감성의 문제를 간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작가의 주체성과 감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당시의 문예사상적 변화를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중국과 달리 조선에서는 화론이 체계적으로 논의된 적이 없었고, 대부분 문예론 속에서 그림에 대한 언급이 있었다. 따라서 조선 후기 회화를 제대로 분석하기 위해서는 문예사상의 변화를 전제해야 한다. 조선 후기 문예사상에서 천기론과 도문분리론은 개성과 독창성을 강조하면서 ‘진(眞)’의 개념을 추구하고 있다. 이는 공안파의 문예사상의 영향 때문이다. 특히 공안파의 문예사상에서 인간의 욕망 긍정은 조선 후기 문인인 이옥의 작품과 신윤복의 풍속화에서 중심개념으로 나타고 있다. 신윤복 풍속화의 시각은 신분의 질서의 위계보다는 남녀 간에 평등과 인간 본성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는 성리학 이념을 통치 체제로 내세워 개인의 존재보다 공동체를 우선으로 하는 조선의 봉건사회의 체제를 위협하는 요인일 수 있다. 따라서 조선 후기 문예사상과 관련해서 신윤복 풍속화를 분석하는 시도는 그의 풍속화에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518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Yi Ik ege kwanyong ŭl paeuda.Hŭn Sŏl - 2018 - Kyŏnggi-do Koyang-si: Wijŭdŏm Hausŭ.
A Study on Lao Tzu’s Annotation for the Joseon Confucian scholars. 이봉호 - 2020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29:61-90.
조선 후기 유림 의 사상 과 활동.O. -yŏng Kwŏn - 2003 - Sŏul Tʻŭkpyŏlsi: Tolbegae.
Expression and Deployment of Folk Taoism(民間道敎) in the late of Chosŏn Dynasty. 김윤경 - 2012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35 (35):309-334.
유불교섭사의 맥락에서 바라본 조선 후기 불교 심성론의 변용.BangRyong Kim - 2019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91:83-105.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2

Downloads
9 (#1,532,902)

6 months
5 (#1,071,419)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