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Laozi's De for an Ecological Life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97):121-149 (2014)
  Copy   BIBTEX

Abstract

본 연구는 생태적 삶을 위한 노자(老子) 덕론에 대한 탐구이다. 생태 위기의식이 고조된 이후 각종 연구들과 정책들이 나왔지만 이들 대부분은 공리주의에 입각한 경제적 관점을 취하고 있기 때문에 외치는 구호는 친환경이지만 실질적으로 소비 지향적 삶의 방식을 추구한다. 이런 현상들은 경제 세계화의 흐름과 함께 전 지구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런 관점 하에서 자연은 여전히 도구적 가치만을 지닐 뿐이다. 그 가치의 중심에는 인간만이 있을 뿐이다. 이런 사유의 방식은 인간 사회 내부에서도 중심과 주변부를 나누는 분별 의식을 낳는다. 노자 사상은 이런 중심성을 거부한다. 노자에 따르면 세계의 존재 방식은 중심과 주변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상호의존성에 기반하는 것이다. 노자의 탈 중심적 세계관은 경제적 가치 중심의 구호뿐인 친환경 정책이 아닌 존재들의 상호의존적 관계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인간과 자연, 인간과 인간 사이의 생명력을 길러주고 삶의 태도와 방식의 변화를 이끌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본 논문은 노자의 덕론은 현대인들에게 생태적 삶을 구현해 나가는데 있어서 어떤 실천적 의미를 가지는가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주된 내용은 도와 덕의 관계, 덕의 실천원리로서 무위의 개념이해, 욕망의 문제와 관련된 덕의 상실과 회복 그리고 마지막으로 생태적 감수성 개념을 통해 노자의 덕을 이해하고 노자의 덕이 생태적 덕이 됨을 밝히고자 했다. 『老子』에 나타난 도와 덕의 관계는 동전의 앞면과 뒷면처럼 함께한다. 무위자연의 도가 운행하여 드러난 것이 덕이다. 노자는 이 무위자연한 도의 운행 즉 덕이 지니는 세 가지의 보배를 자비, 검소, 겸허라 하였다. 무위자연의 구체적 운행원리인 이 세 가지는 생태적 삶을 위한 실천적 덕목으로 적용될 수 있다. 자비함은 자연의 도가 모든 존재들을 위해 아낌없이 내어줌을 의미하고, 검소함을 낭비함이 없음을 말한다. 대지에 아무리 많은 것이 축적되어 있어도 자연은 필요한 만큼만을 쓸 뿐이다. 마지막으로 겸허함은 물의 덕과 같이 아래로 내려가 모든 것에 생명을 주면서도 늘 공을 드러내지 않음을 말한다. 더불어 노자는 인간의 지나친 욕심이 가져온 덕의 상실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욕망의 다스림이 있어야 한다고 보았다. 이를 위해 노자는 소사과욕(少私寡欲)과 견소포박(見素抱樸) 즉 사사로운 이기적 욕망을 적게 하고 소박한 자연성을 볼 것을 요청한다. 이와 같은 도의 덕은 현대인의 삶의 방식이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가를 알려준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270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A Study on the Ecological Implications of Tao-Te-Ching. 이윤주 - 2009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74):97-123.
A Study on the Meaning of Ecological Sustainability in the Ecological Ethics. 변순용 - 2012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85):167-186.
A Study on the Nature of Deok for the Understanding of Transcendence as Moral Education Content. 김봉제 - 2016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109):171-196.
A View on the 'the Spirit of Non-Property' as the Base of Ecological Ethics. 이상철 - 2011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83):21-52.
Spinoza and Eco-philosophical Implications. 한면희 - 2009 - Environmental Philosophy 8 (8):29-56.
Virtue as Moral Strength. 노영란 - 2020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45:57-81.
A Contemporary Meaning of Chu Hsi's Concept of Goodness Implied in the Viewpoint of Nature. 김철호 - 2008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68):93-117.
Aristotle’s Unity of the Virtues Examined through Phronēsis. 박정은 - 2023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55:29-58.
Wilson's Ecological Thinking - Biophilia and Universal Conservation Ethics -. 윤진각 - 2016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6:217-228.

Analytics

Added to PP
2016-06-30

Downloads
5 (#1,754,154)

6 months
2 (#1,689,990)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