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논문은 『中庸』을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詩經』과 『中庸』에서 시가 담고 있는 사상을 비교⋅분석하고, 인용양상과 역할 및 그것이 담고 있는 중용철학을 살펴보는 연구이다. 『中庸』은 오직 『詩經』만을 인용하였고, 모두 16차례 인용이 보인다. 한번만 제외하고모두 출처가 『詩經』이라는 것을 밝혔는데, 이것은 『詩經』의 권위에 의탁하여 중용의 도를설명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일정한 형식 없이 필요한 부분만을 취하였다. 따라서 『詩經』 본래의 뜻과 『中庸』에서의 뜻이 달라지는 경우가 있었으며, 본의대로 수용되더라도뜻이 확장되는 경우도 있었다. 『詩經』의 시 중에서는 雅가 가장 많이 인용되었고, 다음으로 頌이다. 雅와 頌은 정악의 노래로써, 조회할 때와 제사에 쓰인다. 엄숙하며 공경하는내용으로 선왕의 덕을 드러내 중용의 도를 설명하기에 적합했을 것이다. 『中庸』의 장별로 살펴보면 1〜11장까지는 시가 인용되지 않았고, 중반부터 시작되어후반부에 집중적으로 인용되었다. 12장에 처음 인용되었으며, 26〜33장에서 가장 많이인용되었다. 특히 전편을 요약하여 마무리하는 33장은 시가 논지를 전개하고 있는데, 이것은 반복하여 간절한 뜻을 보여주기 위하여 『詩經』시를 활용한 것으로 보인다. 『中庸』의 4대절 분류로 볼 때 전반부에 속하는 1대절은 도의 근원과 실현 방법을 설명하는 부분으로 강령이 제시되었다. 중⋅후반부인 2대절부터 4대절까지는 1대절에서 제시한 강령을 설명하고, 중용의 도를 실천하는 방법⋅실천한 인물⋅공효를 밝히는 부분이다. 따라서 중⋅후반부에서는 시에 의탁하여 논지를 전개하고 증명하는 사례가 많았다. 인용된 시들은 『中庸』의 철학인 도의 費隱과 인도의 실천이 천도로 확장된다는 내용을 담고있다. 또한 성왕들의 사례를 시를 통해 보여줌으로써 유학의 목표인 수기치인을 실현해야함을 말하고 있다. 『中庸』에서 『詩經』을 인용한 의도와 인용된 시의 의미와 역할 등을 살펴보는 일은 『中庸』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