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Functions and Roles of the Jongmyo Shrine(宗廟) before Qin(秦) Dynasty― Focusing on Hieroglyphics of Ancient Letters, researches of the ruins of Goong - Myo(宮廟) during Zhou(周) period and Documentary Cases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79 (79):65-94 (2016)
  Copy   BIBTEX

Abstract

‘廟’字는 西周時代의 金文에서 처음 보이기 시작한다. 宗廟가 군신 간의 ‘朝의 의례’가 주로 이루어지는 곳이라는 점을 표현하기 위해 廟의 造字 과정에서 ‘朝’자가 활용되었는데, 그 과정에서 朝자 ‘月’ 부분의 형태에 변형이 생겼다. 朝와 廟 金文의 ‘月’ 부분은 모두 개울물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廟자에서의 개울물 형태의 ‘月’은 周代와 그 이전 대의 대형 건축물에 설계된 排水道를 표현하고자 한 것으로 보인다. 西周時期 宮廟遺跡地로 陝西省 扶風縣의 雲塘과 齊鎭을 들 수 있으며, 春秋時期의 것으로는 陝西省 鳳翔縣 馬家莊 1호와 馬家莊 3호 유적지를 논할 수 있다. 그것들 대부분 堂廂分離式의 品자 형태를 보이는 건축군들로 구성되어 있다. 독특하게 보이는 마가장 3호 유적지는 남북으로 길게 자리 잡은 터에 다섯 부분으로 구획되어 있는데, 이 역시 두 組의 品자형 건축군이다. 한편 위의 경우처럼 가까운 거리에 한 組 이상의 대형 건축군들이 존재하는 것은, 당시 다수의 廟를 소유할 수 있는 규정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天子七廟·諸侯五廟···’ 등의 소유 廟數가 규정대로 지켜졌는지는 회의적이며, 그 배열 역시 태조 묘를 중심으로 昭·穆의 나란한 정렬이 아닌 산발적 배치로 봐야 할 것이다. 周代의 종묘는 治朝의 공간으로서, 각종 종교적·정치적·외교적인 의례가 이행되던 곳이었다. 秦代 이후 제사 의례와 정치·외교 의례의 분리가 진행되면서, 宗廟는 先君의 제사 의례를 이행하는 장소로만 불리게 되었고, 정치적·외교적 기능 및 거주공간으로서는 ‘(황)궁’이라는 새로운 명칭을 부여하였다. 宮은 원래 일반적인 ‘집’의 의미로 사용된 용어였지만, 시황제 이후로는 ‘최고통치자의 집’으로만 쓸 수 있게 되었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423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Zhu xi's Theory of Rites to Four Generations of Ancestors. 정현정 - 2014 - 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 41 (41):109-132.
漢代 尙書學의 成立과 政治的 意義. 정병섭 - 2009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57 (57):247-275.
『孟子』의 『書』 인용에 관한 연구. 이은호 - 2013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76 (76):215-238.
A Study on ≪shu≫ quotation of the ≪XunZi≫. 이은호 - 2016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85 (85):69-98.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7

Downloads
17 (#1,160,666)

6 months
7 (#736,605)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