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rgson’s notion of intensity analysis and philosophical meaning: Focusing on chapter 1, the intensity of psychical state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81 (81):355-378 (2016)
  Copy   BIBTEX

Abstract

베르그손은 지속 철학이 철학사를 관통하는 문제임을 깨달았다. 또한 그는 지속 개념으로부터 형이상학적 원리에서 심리학에 도달하였다고 말했다. 그 심리 철학이란 강도의 개념이다. 따라서 지속 개념은 공간의 문제를 시간의 의식으로 바꾸어 철학적 원리를 세우는 일이다. 지속의 원리는 철학의 근본을 세우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공간적 사유인 연장 개념으로 세계를 보는 관점에서 시간적 사유인 지속의 관점으로 세상을 보는 것이다. 지속 관점에 서게 될 때 발생하는 문제점은 검의 양날과 같이 혹은 동전의 양면과 같이 마주할 수 없는 것들이 마주하게 된다. 간단히 말하자면 모순률을 놓음으로써 세계에 모순을 배제하는 방식으로 사고를 발전시켰고 이러한 것이 서구 합리성의 역사였다. 그의 지속 원리는 단순히 공간적 사유를 시간적 사유로 전환했다는 데 의의가 있는 것은 아니다. 이도 하나의 전환이기는 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우리의 합리성에도 불구하고 세계 속에서 발견되는 모순을 포착하여 설명할 계기를 마련하는데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렇게 도달한 것이 바로 그의 심리학이고 강도의 개념이다. 강도의 본성은 질적 차이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양으로 환원될 수 없는 고유한 심리상태들의 다양성을 드러내 준다. 그것은 질적인 전진이며, 그의 표현대로 새로움을 갖는 창발성을 획득한다. 강도 개념의 분석으로부터 우리는 베르그손의 질적 다양성으로부터 존재의 다양성의 관념에 이르게 되며 차이의 본질을 이해하게 된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553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A method of identity in Bergson’s duration : La succession. 허준 - 2014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71 (71):343-360.
Bergson’s Conception of Duration Revisited. 주재형 - 2021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49:113-142.
Wittgenstein and perspicuous representation. 이상룡 - 2019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89:253-282.
Nammyeong Jo-Sik's Practical Social Reformism. 이미림 - 2013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39 (39):29-52.
A study of figure of intuition and metaphysical high level stage in philosophy of Bergson. 이신성 - 2012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66 (66):339-368.
On Bergson’s Method of Intuition. 주재형 - 2022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37:31-62.
The Concept of Freedom in Bergson. 김정옥 - 2017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9:79-95.
A Study on the Political Thought of Lujia. 조원일 - 2016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79 (79):43-64.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7

Downloads
7 (#1,647,891)

6 months
3 (#1,498,028)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