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unqiuzuozhuan’s Narrativism and the Integrative Horizon of Historical Spirit - Focusing upon Historical Content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6:215-236 (2021)
  Copy   BIBTEX

Abstract

본고에서는 『춘추좌전』에 담겨있는 역사정신의 본령이나 취지가 어떻게 역사적 서사의 방식을 통해 서술되고 있는지에 대한 문제에 주목한다. 특히 以事解經의 방법은 경전을 해석하는 방식 중의 하나로서 敍事主義的맥락에서 이해된다. 『춘추좌전』은 『춘추』와 달리 敍事의 방법을 통해 義理의 목적에 도달한다. 『춘추』에서는 사건의 구체적 내용을 事例를 통해 서술하는 반면에 『춘추좌전』에서는 서사의 내용을 통해 역사의 본질적인 의도나 취지를 서술한다. 그러므로 『춘추좌전』에 서술된 서사의 내용은 대부분 특정 행위의 결과에 대한 先見之明과 관련되는 경우가 많다. 선견지명은 어떻게 예측하고 판단할 것인가 하는 문제가 반영되어 있다. 서사의 내용들은 절체절명의 天命, 가치지향적 행위, 합목적적 의지 등을 특징으로 한다. 『춘추좌전』에서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주역』의 卦爻辭를 因果的관계가 밝혀진 역사적 사례로 보고 그 속에 반영된 예측과 판단의 결과를 역사적 사례에 적용하고 해석하는 것이다. 이는 인과적 관계가 밝혀진 역사적 사례를 활용하여 역사성의 주체적 정신을 담아내고자 하는 취지를 지닌다. 주체적 정신은 敍事의 문장과 故事의 줄거리 사이에 존재하는 내재적 관계 속에서 사실과 가치의 통합적 경계를 지향한다. 이러한 점에서 『춘추좌전』에서는 점서의 사례에 관해 서사주의의 義理的방식을 통해 역사적 사실의 진실성을 밝히고자 한 것이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297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Yi-wei’s Taiyi-Yuanqi View and Its Pre-Experiential World-View of Qi-Xiang and Yun-Shu. 김연재 - 2022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9:157-179.
「經說」을 통해 본 眉叟 許穆의 禮樂論. 선우미정 - 2019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99 (99):7-32.
[周易]에 나타난 潛居의 處世之道 - 地火明夷卦의 用晦而明之道를 中心으로 -. 정은숙 - 2010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57 (57):225-245.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2

Downloads
8 (#1,585,382)

6 months
7 (#728,225)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