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ablishment of Chunchu and Courtesy among Government Officials observed through King Jeongjo's Gyeongsagangeui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79 (79):239-276 (2014)
  Copy   BIBTEX

Abstract

본 논문은 『經史講義』에 수록된 『春秋』 條問의 분석을 통해 『춘추』에 대한 正祖의 학문적 관점을 밝힌 것이다. 『春秋』 條問은 1793년에 10조목, 1798년에 8조목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앞의 10조목은 이미 연구 성과가 제출되었다. 이 논문은 그 후속 작업의 일환으로 뒤의 8조목 중에서 핵심이 되는 4개의 조목을 집중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정조는 『춘추』의 성립이나 체례의 구성 등 『춘추』 경전의 전반적인 체계를 條問의 대상으로 삼아, 『춘추』라는 책의 성격과 『춘추』 범례의 전형을 찾으려고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정조는 『춘추』의 체계를 나름대로 정립함으로써 올바른 『춘추』 읽기나 해석을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려고 했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270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Criticism and Argument on Du-yu of Dasan's Chunchugojing. 김동민 - 2012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71 (71):91-118.
The Theory of Disaster in the Qin and Han Dynasties. 임정기 - 2021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5:275-298.
The study on Wang Yangming’s Okyunguksul. 이우진 - 2016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86 (86):161-196.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2

Downloads
11 (#1,423,995)

6 months
6 (#876,365)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