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Theory of Disaster in the Qin and Han Dynasties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5:275-298 (2021)
  Copy   BIBTEX

Abstract

본 연구는 중국 진·한대의 재이사상에 대한 연구이다. 『管子』에서 『呂氏春秋』·『淮南子』·『春秋繁露』의 자료에 이르기까지의 재이사상을 연구범위로 했다. 그리고 시간의 경과에 따른 사상의 흐름 속에서 살펴왔다. 진·한대의 재이사상은 이전 사회에서와는 다른 삶의 방법에 대한 새로운 해석이다. 재이사상의 발생은 의지적 존재로서의 천을 믿음에 의해서가 아니라, 음양으로 천지를 해석함에 의해서이다. 그렇기 때문에 경험적으로 천을 설명하면서부터 재이사상의 조짐은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결국 순자의 경험적인 천 해석에서, 이미 재이사상의 음양의 세계가 잉태되어 있었다고 할 수 있다. 『관자』나 『여씨춘추』등에서 천지가 음양으로 해석되면서, 『순자』에서 분리하여 해석했던 천인관계가 다시 연결되게 되었다. 음양에 의한 새로운 천인관계의 성립은 천의 현상인 四時를 기준으로 인간사회를 해석하도록 하고, 천지의 인간사회에 대한 표현으로서 재이를 해석하는 재이사상을 낳게 했다. 『관자』와 『여씨춘추』, 『회남자』, 『춘추번로』를 통해 볼 경우, 재이를 해석하는 공통적인 모습은, 천지를 음양과 四時로 해석하면서, 四時의 정령을 기준으로 하여 재이를 해석하는 것이다. 가장 특징적인 것은 『춘추번로』의 氣의 관점에서 『춘추』의 재이를 새로이 해석한 것이다. 재이사상은 중국고대 사상 중에서 진·한대사상의 특징으로 이해해야 한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270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Wang Ch’ung’s View of Bushi through the Method of Judging the Good and Bad Luck. 임정기 - 2019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8:151-168.
Xunzi’s Theory of Justice and Utility and Economic Ethics. 박영진 - 2011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82):339-366.
Analyzing “Correct Naming(正名)” from the logic of Xun Zi. 김정희 - 2017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79:221-238.
荀子와 先秦儒家 樂論의 成立에 대한 연구. 정병섭 - 2010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64 (64):349-382.
Aspects of the Use of Wisdom and Brightness in the Four Books. 임종진 - 2022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9:387-409.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2

Downloads
11 (#1,423,995)

6 months
6 (#876,365)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