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ilation of SaGoJeonSeoChongMokJeYo (四庫全書總目提要) and Change of Academic Stream early in the Era of Ching - Focused on the Section of 'JeYo (提要)', 'GyeongBu (經部)'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67 (67):221-250 (2011)
  Copy   BIBTEX

Abstract

『사고제요(四庫提要)』는 『사고전서(四庫全書)』의 해제 형식으로 편찬된 일종의 해제 자료집이다. 이 책의 편찬은 청초 학술의 성격 변화와 한학(漢學) 존중의 기풍을 추동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학술사적 의의를 지닌다. 즉 『사고제요』의 편찬이라는 사건은 훈고와 고증 중심의 한학(漢學)의 부흥과 발전이라는 청대의 학술사조 형성에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본 논문은 『사고제요』에 기록된 송학(宋學)과 한학(漢學)의 대립에 대한 관점, 그리고 한학 중심의 연구방법을 지향하는 『사고제요』의 논리를 밝힘으로써 청대 학술에 끼친 『사고제요』의 역할과 학술사적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사고제요』를 분석해보면, 이 책은 단순한 해제의 성격을 뛰어넘어 그 속에 편찬자의 학문관이나 사상적 주장을 강하게 투영하고 있기 때문에 그 자체가 하나의 학술적 논문의 성격을 띤다. 이 책에서는 한학(漢學)의 존숭과 송학(宋學)의 경시라는 자세와 한학의 연구방법이 경전의 이해와 독해를 위한 최선의 방법이라는 학문관을 강하게 주장한다. 이러한 학문관은 국가권력의 후원과 절대적인 지지 하에 청대 학술의 방향성을 결정하는 강력한 힘으로 작용하였다. 그 결과 『사고제요』의 연구방법은 학술 분야 전반에 파급됨으로써 청대 학술은 한학 중심의 실증적이고 고증적인 학문이 핵심적인 학술사조로 자리잡게 되었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0,937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漢代 尙書學의 成立과 政治的 意義. 정병섭 - 2009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57 (57):247-275.
Aspects of the Use of Wisdom and Brightness in the Four Books. 임종진 - 2022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9:387-409.
권근(權近) 『대학』 도설(圖說)의 구조적 특징과 그 학술사적 의의. 김동민 - 2019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62 (62):9-47.
狂狷美學의 관점에서 본 蒼巖 李三晩의 書藝美學.Jo MinHwan - 2012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72:337-366.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1

Downloads
7 (#1,636,548)

6 months
4 (#1,247,093)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