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waeomseokjae ; The interpretation of the title of Flower Adornment by Seoljam Kim Siseup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74 (74):159-184 (2014)
  Copy   BIBTEX

Abstract

설잠 김시습의 『화엄석제(華嚴釋題)』는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 일곱 자를 중심으로 80권 『화엄경』의 사상을 집약하여 해석한 전적이다. 본 전적은 배휴와 징관, 그리고 임제종계통의 천여유칙선사의 『어록』을 통한 인용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화엄석제』의 구성과 그 주요내용, 그리고 설잠이 본 전적을 통해 무엇을 주장하고자 했는가를 논구하였다. 『화엄석제』는 대량의 인용문을 통하여 『화엄경』에 대하여 ‘제불의 밀장(密藏)’이요, ‘여래의 성해(性海)’이고, 또한 ‘대승의 돈교(頓敎)’라고 정의를 내린다. 이후에 “일체중생의 몸과 마음의 본체(本體)”인 ‘법계’의 성격을 경전의 근본적인 취지[宗趣], 경전의 모든 사상에 공통되는 본체[通體], 또한 모든 법이 의지하는 근거[通依]로서 규정하고, 다시 그러한 ‘일진법계’는 바로 ‘지금 이 자리’, 즉 ‘당하(當下)’에 있음을 천여유칙의 『어록』을 인용하여 강조하고 있다. 이렇게 ‘법계’를 규정한 이후에 지금 이 자리에서 현현하고 있는 ‘마음’을 ‘중생심[凡心]’과 ‘불심(佛心)’의 두 가지로 나누지만, 그 둘이 서로 철저하게 상즉(相卽)하고 있음을 강조하고, 또한 ‘마음’을 통해 체용(體用)의 문제를 이끌어 “깨닫고 나면 체와 용은 일치”함을 논증한다. 이렇게 ‘마음’의 깨달음을 언급한 이후, ‘깨달음’을 통해서 도달하는 경계, 즉 ‘불경계(佛境界)’를 논증하는데, ‘마음’을 ‘중생심’과 ‘불심’으로 나누지만, 그 둘이 서로 철저하게 ‘상즉’하고 있음을 밝혔기 때문에 ‘불경계’ 역시 ‘중생경계’와 끊임없이 ‘상즉’하게 됨을 밝히고, ‘바른 눈[正眼]’을 열게 된다면 “천지가 모두 불경계”임을 밝힌다. 이후에 ‘법계’와 ‘마음’, ‘체용’과 그로부터 도달하는 ‘불경계’들은 최종적으로 그를 총섭(總攝)하고 있는 ‘자기(自己)’로 귀결시키는데, 이러한 일목요연한 과정은 바로 화엄과 선을 ‘일치’시키고자 하는 의도로서 해석할 수 있다. 이후에 대량의 『천여어록』을 인용하여 ‘선교일치론’을 논증하고, 나아가 화엄을 바탕으로 한 조사선, 즉 ‘화엄선’을 제창하고자 하는 의중을 충분히 드러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설잠의 ‘화엄선’의 제창은 비록 본고에서 상세한 논증을 하지 않았지만, 신라 화엄학이 융성, 나말여초에 형성된 ‘구산선문’이 화엄학을 바탕으로 하여 조사선을 수용하였던 점, 그리고 고려시대에 의천(義天)이 화엄을 바탕으로 ‘천태’를 수용하여 ‘선’을 섭수하려고 하는 시도, 또한 보조지눌(普照知訥)이 화엄선을 제창했다는 점 등의 사상적 전통으로 볼 때, 설잠이 ‘화엄선’을 제창하고자 했다는 결론은 결코 무리가 없다고 하겠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219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Philosophy and Literary Metaphors within Ideology of 『Sipjipum』of 『Avatamsaka Sutra』. 강기선 - 2017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9:1-30.
Seon Thought in Seonmunbojangnok(禪門寶藏錄) and its Influence on Korean Seon. 오홍석 - 2016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81 (81):181-209.
The Characteristics of Gaofeng-yuanmiao's Chan thought. 김명호 - 2016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80 (80):171-195.
A Study on the Tathāgata-garbha Thought of Kukai: Mainly Focused on Jeuksinseongbuleui(卽身成佛義). 이석환 - 2017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84 (84):115-138.
Zhou rudeng’s Doctrine of Mind and Nature. 이상훈 - 2017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79:239-261.
Korean Confucianist Zhao Yi's Theory of Self-Cultivation and Ethic Perspective. 리홍군 - 2008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48 (48):349-365.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7

Downloads
9 (#1,528,202)

6 months
5 (#1,053,842)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