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Hume’s Theory, the Constructed Subject and the Problem of Subjectivation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171:167-191 (2024)
  Copy   BIBTEX

Abstract

흄에게 있어서 주체와 주체화의 문제는 자신이 주장하려고 하는 것보다 더 큰 의미를 가진다. 우리는 흄이 주장하는 주체성에서 근대를 넘어서는 사유, 현대적 주체성에 대한 관점의 선취를 본다. 그것은 주체가 주어진 것 안에서 구성된다는 것, 이 수동성이야말로 주체를 이해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우리는 마르크스나 정신분석학이 소화된 푸코나 들뢰즈와 같은 철학, 즉 현대적 주체성을 그려 보여주는 철학의 시원적 지점으로서 흄의 철학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글은 흄의 주체화의 문제를 수동성의 맥락 안에서 다룬다. 이러한 흄의 주체성은 근대적 특성을 닮고 있으면서도 근대성을 넘어서는 사유의 지평을 보여준다. 그리고 우리는 근대에 이미 실천적 주체에 대한 사유를 흄을 통해서 볼 수 있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297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The Role of Reflection in Hume’s Political Philosophy. 김병재 - 2019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41:27-54.
Technique and Body from Merleau-Ponty’s Philosophy. 심귀연 - 2018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1:163-185.
Is philosophy just humanities?: Philosophy, the original name of science - Education of philosophy as interdisciplinary education. 권영우 - 2014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73 (73):373-394.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ustice and Sympathy - On the Perspective of Hume -. 임정아 - 2017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0:403-422.

Analytics

Added to PP
2024-09-26

Downloads
1 (#1,946,279)

6 months
1 (#1,890,996)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Sorry, there are not enough data points to plot this chart.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