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 philosophie du devenir et le concept de l'évolution : De l'actualité de l'interprétation bergsonienne de l'évolutionnisme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57 (57):75-99 (2010)
  Copy   BIBTEX

Abstract

한 세기 전에 출간된 베르그손의『창조적 진화』는 당시까지의 진화 이론들에 대해 숙고하고 생성철학의 입장에서 일종의 종합을 시도한 것으로 평가된다. 베르그손의 작업은 오늘날 알려진 바와는 달리 당대의 생물학자들에게 어떤 방식으로든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었고 지금도 여전히 살아있는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그간 생물학의 여러 영역에서 일어난 발전은 눈부신 것이었고 이런 의미에서 그의 작업을 오늘날의 관점에서 재평가해보는 일이 필요하다. 물론 이것은 그의 철학을 자연주의적으로 해석한다는 전제 없이는 보람없는 논쟁이 될 수 있다. 우리는 엘랑 비탈의 개념을 생명 현상에서 나타나는 우발성과 새로움(창조)이라는 두 가지 속성으로 정의하고 그의 진화론을 재구성해볼 것이다. 진화론에는 사실의 측면과 논리적, 이론적인 측면이 공존한다. 따라서 이 작업은 베르그손 당대의 진화론과 그것의 역사적 전개를 엿보게 해 주는 동시에 이론적인 면에서는 현대적 논쟁들로 연결된다. 우리는 도킨스, 마이어와 같은 신다윈주의자들과 굴드와 같은 고생물학자로 대표되는 현대 진화론의 두 대립하는 입장을 소개하고 이들과 베르그손을 차례로 비교하면서 몇 몇 흥미로운 지점들에 주목할 것이다. 이 비교는 적어도 진화론에서 사실과 관련된 문제 그리고 논리적인 전제들을 구분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본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518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창조적 진화』의 두 원천.Suyoung Hwang - 2020 - Modern Philosophy 15:101-137.
Towards a Bergsonian Theory of Individuation. 주재형 - 2020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44:143-175.
The Trolley Problem for Wonhyo and the New Normative Ethnical Theory. 정진규 & 김원명 - 2017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84 (84):215-236.
La morale existentielle de Sartre : Surmonter la mauvaise foi et Vivre la vie de la création des valeurs. 박정태 - 2008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49 (49):317-345.
Bergson: Pedagogy of De-formation.주재형 ) - 2019 - Modern Philosophy 14:87-115.
On Bergson’s Method of Intuition. 주재형 - 2022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37:31-62.
Heidegger’s concepts of phenomenological-hermeneutical ontology. 권준태 - 2023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103:1-27.
Bergson’s Conception of Duration Revisited. 주재형 - 2021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49:113-142.
An Inherent Critique of Vitalism: The Case of Bergson. 주재형 - 2022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39:79-108.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6

Downloads
5 (#1,757,746)

6 months
5 (#1,080,408)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