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usseau between Anthropology and Politics: On Education in Emile

Modern Philosophy 15:79-99 (2020)
  Copy   BIBTEX

Abstract

루소는 『에밀』에서 아이가 자신의 욕구를 자연스레 표현할 수 있는 감정교육. 즉 자연교육을 강조한다. 이것은 아이 자신을 위한 교육이자 인간교육이다. 그러나 『에밀』과 같은 해에 출판한 『사회계약론』에서는 일반의지에 복종하는 시민상을 그려준다. 일반의지는 개인적 욕구가 아니라 사회적 의무를 수행하는 시민의 덕목이다. 따라서 인간교육과 시민교육을 각각 강조하는 이 두 저서에는 얼핏 화해할 수 없는 지점이 있는 듯 하지만 두 책의 주장 사이에 비밀스런 조화가 있다. 바로 사회적 의무가 강압적인 것이 아니라 자발적인 것이 될 수 있기 위해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필자는 두 책을 연결하고 지도하는 핵심 이념을 『에밀』에서 찾는다. 『에밀』의 자연교육에서 가장 마지막의 과정이 정의의 자연적 감정을 체득하는 일이다. 정의는 외부에서 강제되는 것이 아니라 타인에 대한 배려와 사랑으로서 마음에 의해 느껴지는 데서 나온다. 교사는 이를 강요하지 않고 아이가 자연스러운 방식으로 스스로 체득하게 해야 한다. 루소는 이러한 자발성을 함양하는 교육이야말로 사회 내의 진정한 정치적 변화에 이르게 하는 길임을 역설한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0,888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Bergson’s mystic and Deleuze’s sorcerer. 조현수 - 2021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48:55-79.
An Approach to Ethical Guidelines of Autonomous Vehicle. 변순용 - 2017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112):199-216.
A Study of the Other in the Context of Justice. 정현철 - 2016 - The Catholic Philosophy 26:111-136.
Methodological Debates in Biomedical Ethics and Narrative Ethics. 이상형 - 2019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88:119-139.
Forgiveness as Something We do. 이선형 - 2019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38:75-96.
Nammyeong Jo-Sik's Practical Social Reformism. 이미림 - 2013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39 (39):29-52.

Analytics

Added to PP
2022-11-21

Downloads
16 (#1,190,190)

6 months
6 (#856,140)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