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anings of Hoekgwae(Trigram Strokes: 畫卦) of Jesamyeokpalgwaedo (Diagram of Three-Change Eight Trigram: 第三易八卦圖) in the Perspective of Korean I-Ching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75 (75):29-50 (2015)
  Copy   BIBTEX

Abstract

본 연구는 「제삼역팔괘도」인 「정역팔괘도」의 획괘 경위 및 근거를 통해 그것의 한국역학적 의의를 살핀 것이다. 기존의 「복희팔괘도」는 「설괘전」3장을 전거로 만물이 탄생되는 모습을, 낙서를 바탕으로 한 「문왕팔괘도」는 「설괘전」5장을 전거로 오황극을 중심으로 사상작용을 표상한다. 즉 「문왕팔괘도」는 건곤의 작용성을 상징하는 감리가 괘도의 중추를 이루어 탄생된 만물이 자라나는 모습을 표상한다. 왜냐하면 동방으로부터 탄생한 만물이 간괘에서 성인의 말씀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만물 탄생을 표상하는 「복희팔괘도」와 탄생된 만물이 자라는 과정을 표상하는 「문왕팔괘도」에 이은 제삼의 팔괘도, 즉 생장의 완성을 표상하는 괘도의 출현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 괘도 출현의 가능성은 주자이후 조선조후기까지 제기되지 않다가 19세기 말 김항(1826~1898)에 의해 비로소 발견되고 획괘(1879)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이 「제삼역팔괘도」는 구한말의 한국신흥종교운동에 종사하는 사람들에 의해 이용당했을 뿐 그것의 한국역학사적 의의가 드러나지 않았다. 이후 1950년 경 부터 이정호 교수는 『정역』을 학계에 소개할 뿐만 아니라 그의 여러 저서를 통해 「제삼역팔괘도」의 출현 가능성을 밝히고, 그것의 획괘 근거를 「설괘전」6장으로 제시하였다. 이어 그의 후학인 유남상 교수는 여러 편의 연구 논문을 통해 「제삼역팔괘도」획괘의 학문적 의의를 논증하였다. 이에 본고는 김항에 의해 획괘(1879)된 「정역팔괘도」가 이정호교수에 의해 재해석되었음을 밝힌 것이다. 이러한 고찰은 곧 「제삼역팔괘도」 획괘가 갖는 한국역학적 의의를 밝히는 일이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219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The Philosophical Meaning of Square and Circle(方圓), Being Based on the Hetu-Luoshu(河圖洛書) of the Book of Changes. 임병학 & 곽우철 - 2014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74 (74):31-52.
The Principle of Allocating the Wùxiàng in Shuōguàhuán to bāguà. 정석현 - 2023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104:305-330.
變易의 道와 憂患意識의 관계 고찰. 이시우 - 2012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66 (66):91-113.
[周易]의 需 · 訟卦와 晉 · 明夷卦에 관한 曆數原理的 考察.Lee Hyun Jung - 2010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56:167-193.
The Modern and the metaphor-Hegel's and Blumenberg's Theory of the Metaphor-. 조창오 - 2015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76 (76):421-447.
Hetu’-‘Luoshu’'s laws of changes and Ilbu' ‘Right Change. 전광수 - 2017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79:295-323.
漢代 尙書學의 成立과 政治的 意義. 정병섭 - 2009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57 (57):247-275.
A Study on the Tathāgata-garbha Thought of Kukai: Mainly Focused on Jeuksinseongbuleui(卽身成佛義). 이석환 - 2017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84 (84):115-138.
A study for Laozu's transforming from thought to religion by analysing Laozu-Shangizoo. 이석명 - 2007 - 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 27 (27):201-228.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7

Downloads
12 (#1,374,231)

6 months
8 (#597,840)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