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 the correlation of Confucius(Kongzi) 'GuYi' with the Korean National ideology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81 (81):173-208 (2015)
  Copy   BIBTEX

Abstract

‘東夷’는 동아시아 상고시대의 문화와 역사 형성에 있어서 중추적 위치에 있었다. 동아시아 고대사회의 문화·철학·종교 등은 대부분 夷族에 의해서 형성되었다. 이후 孔子에 의해 집대성되면서 유학이라는 학문적 체계를 갖추었고, 현재까지 동아시아 사회의 정신적 축을 담당해오고 있다. 한국민족의 근원을 논할 때 가장 먼저 논하는 것은 ‘夷族’, 혹은 ‘東夷’, ‘九夷’이다. 이처럼 동이는 한국민족의 정체성을 파악하는 문제에 있어서 대표적 개념이며, 한국사상 형성의 기원으로 인식되어왔다. 『論語』에서 孔子는 ‘欲居九夷’라는 언급을 한다. 여기서 ‘欲居’라는 표현으로 그 사회가 지니는 성격의 일단을 추정할 수가 있다. 즉 君子가 살만한 곳일 것이라는 것이다. 만약 공자가 동경한 ‘夷’가 한국민족의 근원인 ‘夷’와 동일한 것이라면 그것으로 고대 한국민족의 수준을 이해하는 하나의 기준으로 삼을 수 있을 것이다. 동이는 4,000여 이전부터 아시아 동부에 산재해 있던 부족들로써 고도의 문화를 이루어 왔다. 고문헌과 고고학적 사료를 통해 동이의 실체, 殷과의 관계, 고조선과 殷의 관계를 연결해 봄으로써, 동이의 정신문화가 한국민족의 정체성과 한국유학사상의 연원이 되어왔음이 확인된다. 한국민족의 혈통은 동이의 유전자를 받아 이어져 왔고, 그 문화는 한국인의 정서 속에 배어있으며, 그것이 유학과 접목됨으로써 한국유학사상을 이루어 민족문화를 창달해왔다. 이런 민족정신의 형성과정을 살펴봄으로써 민족자긍심을 고취시키고, 또 민족개념을 통해 ‘나’라는 존재의 의미를 깨달을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423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周易]에 나타난 潛居의 處世之道 - 地火明夷卦의 用晦而明之道를 中心으로 -. 정은숙 - 2010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57 (57):225-245.
진암(眞菴) 이병헌(李炳憲)의 동이(東夷) 인식.Seung Woo An - 2019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100:209-234.
A study on the awareness about “Dong-YI(東夷)” in Confucianism scripture.Ham Hyun-Chan - 2010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30:123-159.
The Culture of "BRIGHTNESS"(明) by Dongi(東夷) tribe appearing in ancient legends of the North East Asia.Jae-Kook Song - 2009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53:249-276.
A Study on ≪shu≫ quotation of the ≪XunZi≫. 이은호 - 2016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85 (85):69-98.
漢代 尙書學의 成立과 政治的 意義. 정병섭 - 2009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57 (57):247-275.
Zhu Xi's Interpretation of 'Keji Fuli' in the Analets. 정현정 - 2014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80 (80):89-114.
[周易]의 需 · 訟卦와 晉 · 明夷卦에 관한 曆數原理的 考察.Lee Hyun Jung - 2010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56:167-193.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2

Downloads
5 (#1,756,005)

6 months
4 (#1,269,568)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