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성 토마스(St. Thomas)의 자연법 이론을 연구함에 있어서 그의 이론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는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의 이론과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은 필수적이다. 그런데 성 토마스의 자연법 이론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과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사람들도 있고, 반면에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사람도 있음을 볼 수 있다. 해리 재파(Harry Jaffa)는 매킨타이어(Alasdair Macintyre)가 언급한 대로 성 토마스에 관한 가장 설득력 있는 이론가로서 후자에 속하는 대표적인 사람이다. 그런데 재파는 성 토마스의 자연법에 관한 이론 안에는 그리스도교와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들을 ‘잘못 조화시키는’ 하나의 명백한 경향이 있다고 말하면서 그의 조화는 단지 외관상의 조화일 뿐이라고 비판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그가 성 토마스의 자연법에 대하여 언급한 쟁점 들 중에서 세 가지를 알아보고 나서 이에 대한 반론을 제기한 후에 본 글의 결론을 내릴 것이다. 첫째, 재파는 자연학과 자연적 도덕규범에 관련해서는 아리스토텔레스와 성 토마스의 이론에 나타나있는 사실상의 ‘자연주의적 오류(naturalistic fallacy)’를 지적함으로써 성 토마스의 이론을 공격했는데, 이에 대해서는 알래스데어 매킨타이어(Alasdair Macintyre)의 ‘기능적 관점(functual view)’을 주로해서 반론을 제시할 것이다. 둘째, 재파는 자연법과 영원법에 관해서는 "자연법은 영원법 안으로의 이성적 피조물의 참여이다(Natural law is the rational creature’s participation in the eternal law)’’에 관한 문제를 제기했는데, 이에 대해서는 존 피니스(John Finnis)의 “metalepsis”와 “participatio"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을 중심으로 반론을 제시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재파는 도덕적 원리들의 자연적인 성향에 대하여 문제를 제기했는데, 이에 대해서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원문들과 성 토마스의 원문들에 대한 연구를 통해서, 그리고 앤서니 케니(Anthony Kenny)의 “habitus"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과 케니(Anthany Kenny)와 스티븐스(Gregory Stevens)의 주장을 중심으로 해서 반론들을 제시할 것이다. 그리하여 본 논문에서는 성 토마스의 자연법 이론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과의 단지 외관상의 조화가 아닌, 서로 다른 두 사상체계가 만났을 때 추구할 수 있는 가장 이상적인 수용형태인 발전적인 종합의 형태임을 드러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