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k, Se-dang's understanding of Zhuxi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43 (43):55-80 (2014)
  Copy   BIBTEX

Abstract

박세당의 경학사상에 대한 평가는 ‘반주자학’ 혹은 ‘탈성리학’적인 요소라는 경우와 그렇지 않다는 경우로 나누어진다. 그렇지 않다는 경우에는 박세당이 주자의 성리학을 완전히 부정하지 않았다는 주장, 박세당의 경학사상은 경학사적인 의미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주장이 있다. 이 글에서는 박세당의 학문을 주자학 혹은 성리학이라는 틀을 통한 이해보다는 박세당 자신의 관점이 무엇이었으며, 그 관점에서 주자가 어떻게 이해되었는가를 밝히고자 한다. 박세당은 경문의 새로운 이해에 있어서 필요한 경우에만 주희의 주석을 비판 또는 수용하였다고 볼 수 있다. 그래서 박세당이 『사변록』을 저술하게 된 동기와 그 속에 나타나 있는 그의 경전 해석의 기본 관점을 통하여 그의 주희 이해 방식이 설명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박세당은 학문에서 멀고 깊은 것은 가깝고 얕은 것을 통하여 도달할 수 있는 것이라고 보았다. 인간이 도달하기 쉽고, 헤아리거나 얻거나 알기 쉬운 것으로부터 공부를 시작해야 한다는 말이다. 그것을 버려두고 멀고 깊은 것을 탐구하게 되면 본령에서 어긋난 공부가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이것이 박세당의 경전 해석의 기본 관점인 ‘하학상달’의 방법이다. 박세당은 漢唐代의 잘못된 학문 경향을 바로잡은 공로는 바로 程朱學이며, 程子⋅朱子 두 선생에 의해 六經의 뜻이 다시 세상에 밝혀지게 되었다고 극찬하였다. 그리고 박세당은 육경의 이치는 하나지만 그것을 이해하는 길은 여러 가지이므로 朱子學도 그 중에 하나라고 인정하였다. 물론 자신의 방법도 그 중의 하나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사변록』을 짓게 된 것이라고 밝혔다. 이 견해와 하학상달의 방법론이 박세당 경학의 기본 입장이며, 이 관점에서 박세당은 주희의 경전 주석을 이해하였던 것이다. 그러므로 박세당은 경전에 대한 기본 입장과 하학이라는 방법론을 통하여 유교 경전을 새롭게 해석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 주희의 주석을 비판 혹은 수용하였다고 할 수 있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553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The instruction of comparative study on Lao Zi Note of Park Sae Dang and Hayashi La Zan. 조한석 - 2010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28 (28):297-329.
The Xinxue of Zhen Dexiu : especially on the birth of the concept of Xinxue. 윤상수 - 2017 - 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 48 (48):39-67.
象山學의 學問的 淵源과 心卽理에 관한 硏究. 염호택 - 2009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53 (53):423-445.
순자의 심미의식 고찰 - 예론을 중심으로 -. 심현섭 - 2012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69 (69):219-243.
A study on the view of Xun zi's Study. 지준호 - 2015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46 (46):211-233.
Mathematical Principles Characterized by Lee Won-Koo’s Thoughts of the Yixue. 임채우 - 2007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44 (44):319-335.
尤庵 宋時烈 先生의 理學 硏究에 대한 一考察 - 年譜 연구의 중요성. 서대원 - 2008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48 (48):155-178.
『주역본의』의 성리적 성격에 관한 연구. 주광호 - 2015 - 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 43 (43):143-169.
漢代 尙書學의 成立과 政治的 意義. 정병섭 - 2009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57 (57):247-275.

Analytics

Added to PP
2023-02-28

Downloads
7 (#1,647,891)

6 months
4 (#1,288,968)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