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onsideration of Anti-Intellectual’s Political Thought of Taoism -Focusing on the Debate between Confucianism and Taoism-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60:91-115 (2024)
  Copy   BIBTEX

Abstract

반지성주의는 지성 자체를 부정하지는 않으나 자신이 아는 것만을 옳다고 여기며, 그에 반하는 지적 토론을 반사회적인 것으로 취급하여 권력으로 억압하려는 생각이나 태도를 말한다. 유가가 지적 탐구를 통해 덕성을 함양하고 유위(有爲)의 공동선을 창출하려는 지성주의라면, 도가는 인위적 매개를 끊고 무위(無爲)를 통해 신명(神明)의 도에 직접 다다르려는 다른 의미의 지성주의였다. 『노자』의기지(棄智)는 지성 자체에 대한 반대가 아니라 교지(巧智)에 대한 반대이며, 내면의 밝음[明]을 찾아가는 과정이다. 『장자』의 공자비판은 인위적 가공을 거치지 않고 인간 내면에 실재하는 자연성인 진지(眞知)로 돌아가자는 것이다. 황노(黃老)는 유가의 인의예법이란 외재적 매개를 거부하고, 내재하는 신명을 정신적 주체로 삼아 직접 도(道=천=자연)에 이르고자 하였다. 이렇게 볼 때 노장과 황노 모두 반지성주의가 아니다. 유가와 도가 논쟁의 핵심은 지식 자체에 대한 문제가 아니라, 무엇이 진정한 지식인가에 대한 것이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010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The instruction of comparative study on Lao Zi Note of Park Sae Dang and Hayashi La Zan. 조한석 - 2010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28 (28):297-329.
A Study on Taoism Theory in the Former Half of Joseon Dynasty. 김윤경 - 2014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43 (43):9-32.
The Zhuangzi in the Tang Dynasty’s Painting Theories. 강여울 - 2021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6:1-21.
『Nojasangiju』, Religious transformation of ‘mind’. 김윤경 - 2012 - 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 37 (37):185-204.
A study for Laozu's transforming from thought to religion by analysing Laozu-Shangizoo. 이석명 - 2007 - 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 27 (27):201-228.

Analytics

Added to PP
2024-09-10

Downloads
3 (#1,851,180)

6 months
3 (#1,471,455)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