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of the Neo-Confucianism and the development of Landscape painting in Song Dynasty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32 (32):309-336 (2011)
  Copy   BIBTEX

Abstract

본 연구는 성리학과 문화예술이 밀접한 관계에 있다는 데에서 출발하며, 특히 송대에 흥성한 산수화의 발전에 이론적 근거가 되었음을 연구하였다. 성리학은 고대 동양사회의 정치, 경제, 사상, 문화 예술 심지어 생활에 전반에 걸쳐 근간을 이루어 왔던 유학의 새로운 경향이다. 성리학은 중국의 북송(北宋)대 다섯 학자인 주돈이, 소옹, 장재, 정호, 정이가 그 기틀을 새우고 남송(南宋)의 주희가 집대성한 학문이다. 중국의 원(元)나라를 통해 고려후기에 우리나라에 전래되어 조선의 건국의 기틀이 되었고, 퇴계 이황, 율곡 이이를 거쳐 ‘문화 전반’에 미치지 않은 곳이 없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성리학과 예술론과 관계하여 격물치지, ‘리’, 우주의식, ‘생의’, ‘기상’, ‘예’와 ‘도’의 관계 등이 산수화와 산수화론을 통해 어떻게 표현되었는지를 연구하였다. 산수화나 화조화에서도 신유학에서 말하는 천지의 ‘생의’의 미와 ‘어진 사람은 만물과 더불어 하나’라는 사상을 화폭에 표현하고자 노력하였다. 또한 시와 회화의 통일을 주장하였다. 동양에서는 송대 이전부터도 시와 회화의 관계를 중시했지만, 송에 이르러 시와 회화의 통일을 이루게 된다. 예를 들어, 명나라 때 조성된 졸정원(拙政園)과 같은 강남 정원 문화는 송대 산수화로부터 기인했다. 산수에서 등장하는 산속의 작은 정자나 가옥들이 정원에 옮겨진 것이다. 이는 곽희가 『임천고치』에서 말한 “가볼 수 있고, 바라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노닐 수 있고, 살 수 있는 곳”을 화폭 속에 그려야 한다는 것이 명⋅청대에 이르러서는 현실로 옮겨진 것이다. 또한 현대에 있어서는 환경디자인에 이르기까지 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지속적인 연구는 앞으로 가상현실, 증강현실 등 디자인 발전 연구, 더 나아가 문화산업의 기초자료로서 복합학문, 학제간 교류에 있어서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072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The Zhuangzi in the Tang Dynasty’s Painting Theories. 강여울 - 2021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6:1-21.
Postdemos : Possibility of a New Political Subject. 박성진, 김현주, 윤비 & 김동일 - 2017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0:23-47.
A Study of painting theory Aesthetics of "Xuanhehuapu". 장완석 - 2009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25 (25):381-410.
A Study on Application of wen-gu-zhi-xin(溫故知新) Program to Middle School. 윤영돈 & 한성구 - 2018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59 (59):455-480.
A Study on the Unvirtuousness of the Sadan - Focusing on the Discussion of Toegye and Gobong -. 배병대 - 2020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2:149-167.
Metaphysics and Ethics of Thing from Han Wonjin’s Theory of Nature. 배제성 - 2022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52:1-27.
A study on the theory of "zhong-hua" in the Sung dynasty. 임명희 - 2013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38 (38):251-273.
A wisdom for Social Intgration based on 『I-Ching』. 김재홍 - 2013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74 (74):29-53.

Analytics

Added to PP
2023-02-28

Downloads
13 (#1,323,549)

6 months
4 (#1,249,987)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