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the Multicultural Sensitivity of Han(韓)-nation in terms of ‘Fence-culture’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4:111-132 (2018)
  Copy   BIBTEX

Abstract

본 연구는 한중일 3국의 정원문화의 상호문화성을 에드문드 후설의 현상학적 방법에 기초하여 재구성하는 데 일차적 목적이 있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한국 정원문화의 특성을 확인한다. 확인된 한국 정원문화의 특성을 통해 한민족의 다문화 감수성을 해명한다. 한중일 3국은 각자 고유한 정원문화를 가지고 있다. 그러면서도 나름의 문화적 특이성도 동시에 갖는다. 필자는 한국 정원문화가 갖는 특이성을 중국과 일본의 대표적인 정원과 비교하면서 재구성한다.BR 본 글은 중국의 전통적인 사합원 구조가 재현되어 있는 소주의 졸정원(拙政园)과 일본정원문화의 특성이 재현되어 있는 용안사(龍安寺) 정원을 한국의 도산서당 그리고 명재 고택과 비교한다. 이를 통해 퇴계의 도산서당과 윤증 (尹拯)의 명재(明齋)고택에 재현되어 있는 한민족의 다문화적 감수성을 드러내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BR 이러한 목적으로 이루어지는 본 연구는 본론에 들어가지 전에 근대기하학적 공간구성에 의해 망각되어 버린 다문화적 감수성을 고발하고, 이 망각된 다문화적 감수성을 회복할 수 있는 다문화 장을 후설의 생활세계로부터 확인하고자 한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518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Study on the Multicultural Sensitivity of Han-nation in terms of 'Fence-culture'. 김영필 - 2016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5:49-79.
A Study on Humanities and Problem Solving in Korean Youth Suicide Problem. 심귀연 & 이영석 - 2017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9:157-175.
Frame Building for North Korean Defectors and Frame Deconstruction of the Zhou Yi. 안승우 - 2017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7:281-312.
A Study of Moral Panics of Multi-cultural Society in Korea. 송선영 - 2010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77):73-112.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2

Downloads
13 (#1,334,820)

6 months
8 (#622,456)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