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onceptual Intersection between the Old and the New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Traditional Knowledge System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32 (32):215-249 (2011)
  Copy   BIBTEX

Abstract

본고는 서양 근대 문명 수용 초기(1890~1910)에 발생한 신구 관념의 대립과 충돌을 중심으로 전통 지식 체계의 변용을 역사의미론적으로 탐색함으로써 한국의 근대를 성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에서 신구 관념을 놓고 벌어진 주체 간의 투쟁은 전통개신론자들과 문명개화론자들의 주장에서 첨예하게 드러났다. 서양의 충격에서 비롯된 신구 관념의 대립과 충돌은 우주 자연으로부터 사회⋅정치체제, 학술⋅문화 등 모든 부문에서 인식의 전환을 요구하였지만, 전통 지식 체계를 이해하는 시각에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신구 관념에 따른 전통 지식 체계의 구축과 변용과정에서 문명개화론자들에게 ‘舊’는 단순히 과거의 ‘지나간’, ‘오래된’ 것이 아니라 파괴하고 제거하지 않으면 새로운 문명 건설을 방해하는 장애물이었다. 그러나 전통개신론자들에게 ‘舊’는 ‘溫故知新’의 이념 속에서 다시 ‘新’으로 거듭날 수 있는 가능성을 내함하고 있는 ‘改新’의 대상이었다. 박은식의 「儒敎求新論」이나 한용운의 『朝鮮佛敎維新論』은 전통 지식 체계를 ‘新學’으로 재편하려한 대표적인 시도였다. 보편성과 객관성, 합리성을 추구하는 과학적 방법을 수용함으로써 전통 지식 체계는 근대적인 학문으로 변화할 수 있었다. 그러나 新學으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聖學으로서의 위상은 탈각되었고, 신앙과 종교적 전통 또한 약화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전통 지식 체계의 변용과 ‘구학의 신학화’ 과정에서 신구 관념의 교차가 발생하였다. 여기서 특히 신구 관념의 교차를 가능하게 한 ‘實(學)’ 개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20세기 전후 발간된 다종의 근대 매체는 신구 관념의 다층적 전개 양상을 여실히 보여주는데, 전통 지식 체계가 新學으로 변용될 수 있었던 계기로서 ‘실학’이라는 개념적 준거틀이 작동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이 시기 실학이 지칭하는 대상은 대체로 서양의 학문인 ‘新學’을 표상하고 심지어 등치되기도 했지만, 전통개신론자들은 문명개화론자들이 점유하였던 ‘실학’ 개념과 그 의미를 재해석함으로써 전통 지식 체계를 신학으로 바꿀 수 있었다. 이들은 과학 기술에 압도되어 점차로 거세되어가던 전통적 가치를 ‘신학’ 수용의 토대로 인식하고, ‘實學’을 개념을 준거로 하여 ‘新學’을 再專有(re-appropriation)하였다. 일제의 강점이 구체화 되어 전통 지식 체계의 주체적 변용 시도는 일정한 한계에 직면할 수밖에 없었지만 ‘구학의 신학화’는 ‘東道西器’ 논리가 지닌 모순과 문명개화론의 탈주체성을 넘어서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도덕 원리와 경쟁 원리가 충돌하고 ‘진화’와 ‘진보’가 대세인 현실에 대응하려했던 ‘東道西器’ 논리는 이미 분리될 수 없는 道와 器를 분리 가능한 것으로 상정해야만 성립되는 모순을 안고 있었고, 문명개화론은 서양을 내면화하여 자기 비하와 멸시로 주체의 균열을 야기하고 전통 지식 체계로부터 단절됐다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기 때문이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0,937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Nishi Amane’s Concept of Science in Translation. 김성근 - 2014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73 (73):213-234.
A study on the scientific background of thinking of Kang Youwei and a stage of 'Tianyou'. 한성구 - 2009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27 (27):197-222.
The Acceptance of the Modern Japanese Word ‘Chulhak’ into Korea. 김성근 - 2013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69 (69):507-530.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Modern Neo-Confucianism. 연재흠 - 2007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22 (22):361-418.

Analytics

Added to PP
2023-02-28

Downloads
17 (#1,150,890)

6 months
10 (#407,001)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