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oncept of History in Arendt and Ricoeur

Phenomenology and Contemporary Philosoph 75:109-143 (2017)
  Copy   BIBTEX

Abstract

본 연구는 아렌트와 리쾨르가 근대의 계몽주의 역사 의식에 맞서 각기 어떠한 대안적인 역사 의식 개념을 제시했는지를 살펴보고, 근대의 역사 의식을 극복하기 위한 두 철학자의 대안, 즉 ‘역사 의식의 해석학’과 ‘역사적 판단론’이 가지는 차이를 살펴본다.BR 첫째, 리쾨르와 아렌트는 각기 ‘과거에-의해-영향-받음’과 ‘관찰자 관점의 회고적 판단’을 통해 공통적으로 계몽주의에서 망각된, 역사에서의 과거가 가지는 근원적인 의미를 회복하고자 한다. 하지만 리쾨르가 과거 의식과 행위 사이의 생산적인 긴장을 복원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면, 아렌트는 과거 의식과 행위를 두 개의 분리된 차원으로 구별하고자 한다.BR 둘째, 리쾨르와 아렌트는 모두 역사에서의 미래 지평이 현재의 투명한 의식과 행위에 의해 지배돼서는 안 된다고 본다. 하지만 리쾨르가 칸트의 역사에서의 목적론적 판단을 해석학적으로 전유하는 것을 통해 미래를 향한 기대가 전통에 의해 규정된 구체화된 기대가 되어야 한다는 점에 초점을 두었다면, 아렌트는 칸트의 미감적 판단을 해석학적으로 전유하면서, 미래를 향한 기대가 행위자의 관심을 벗어나 진보를 향한 희망이어야 한다는 점에 초점을 두고 있다.BR 셋째, 리쾨르와 아렌트는 모두 인류가 역사를 만들어가는 전능한 주체라는 점에 동의하지 않는다. 하지만 리쾨르가 인류라는 계몽주의의 유산을 받아들이되, 인류 안에서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의 생산적인 긴장을 보고자 했다면, 아렌트는 인류와 구별되는 세계시민적인 관찰자를 역사의 가장 근원적인 심급에 놓여 있는 주체로 제시한다. BR 이상의 비교 논의는 근대 계몽주의 역사 의식을 극복하고자 하는 현대의 역사철학적 논쟁의 장 안에서 리쾨르와 아렌트의 대안이 각기 어떤 의의를 가질 수 있는지를 보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369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The Flesh in History. 류의근 - 2017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8:413-431.
Discourse and Desire: Focusing on the thought of Yogācāra and M.P. Foucault. 안환기 - 2014 - The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40 (40):135-157.
The Politics of the Pariah - Action of Resistance starting with the Hidden past. 양창아 - 2019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6:463-492.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1

Downloads
4 (#1,806,657)

6 months
3 (#1,481,767)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