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ducational Meaning expressed in Mu-wi of Lao-tzu and kενος of Jesus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43 (43):203-230 (2014)
  Copy   BIBTEX

Abstract

현대 자본주의 신자유주의 시장경제하에서 우리의 교육은 다시 한 번 시장 경제의 논리로 고교 선택제가 생기고 자본주의 논리에 의해서 대학을 위한 교육으로 전락해 버렸다. 이러한 가운데 교권은 흔들리게 되었고, 학교의 교육방침은 그야말로 어디로 가야할지 모르는 상황에 놓이게 되었다. 그런데 중국 고대의 철학자인 노자의 『도덕경』에서의 무위(無爲)사상과 신약성서 「빌립보서」 2장 6절-11절에 나오는 예수의 케노스(κενος)의 사상은 우리 현대인들에게 주는 의미가 크다고 하겠다. 무위(無爲)란 작위(作爲)나 혹은 인위(人爲)의 반대의 개념으로서 자연의 도(道)인 자연스러운(nature) 상태대로 행하는 것을 말한다. 이것은 작위로 가득 차 있는 위정자들의 정치와 인간 사회에서의 인위에서 돌이켜 자연의 순리를 역행하지 말라는 것이다. 또한 케노스의 의미는 미움과 시기로 가득 차 있는 인간 세상에서 자신을 내어놓은 예수의 죽음을 통하여 이제 인간의 사명을 깨닫고 그 사명을 위하여 사랑과 헌신을 하라는 귀한 성인의 교훈이며, 이러한 교훈은 우리 교육의 현실 속에서도 많은 의미를 주고 있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270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A Study on the Ecological Implications of Tao-Te-Ching. 이윤주 - 2009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74):97-123.
A study on Laozi's wu-wei. 이택용 - 2012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72 (72):127-166.
글로벌 시대의 老莊哲學. 이강수 - 2010 - 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 34 (34):115-132.
순자의 심미의식 고찰 - 예론을 중심으로 -. 심현섭 - 2012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69 (69):219-243.
The Problem of Category Misunderstanding in the Theory of Taiji of Ganjae Jeonwu. 주광호 - 2023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165:201-232.

Analytics

Added to PP
2023-02-28

Downloads
4 (#1,805,339)

6 months
4 (#1,258,347)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