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1974년 로버트 노직이 고안한 경험 기계의 사고 실험은 쾌락주의를 효과적으로 반박하 는 논증으로 인정받아 왔다. 하지만 2010년경부터 노직의 경험 기계 반론이 쾌락주의를 완전히 무너뜨릴 힘이 있는지에 대한 의심이 시작되었다. 경험 기계와 연결되지 않으려는 대다수 사람들의 선택을 가장 잘 설명해주는 것은 쾌락주의의 거짓이 아니라 그 사고 실험 에 포함된 몇 가지 문제점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 제기는 크게 쾌락주의적 편향, 상상 의 실패, 현상 유지 편향으로 구분할 수 있다. 경험 기계의 사고 실험에 포함된 문제적 요소를 제거한 두 삶을 직접적으로 비교하는 논증에 따르면, 좋은 삶은 주체가 경험하는 주관적 차원과 주체 외부의 사실적 조건인 객 관적 차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차원적 구별은 좋은 삶에 대한 우리의 직관을 보 다 정확하게 포착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경험 기계의 사고 실험을 이해하는 언어적 틀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우리는 좋은 삶이 주관적 차원과 객관적 차원의 종합으로 구성 된다고 이해하며, 경험 기계의 사고 실험은 우리의 삶에서 쾌락과 같은 경험적 요소가 충 분 요건은 아니지만 필요조건이라는 점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