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motional Singularity of the Self-Consciousness in the Second Meditation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23:91-113 (2018)
  Copy   BIBTEX

Abstract

본고는 데카르트 『성찰』에서 등장하는 자아의식의 감정적이고 독특한 성격을 「둘째 성찰」을 중심으로 탐구한다. 이를 위해 본고는 먼저 『성찰』의 자아의식의 형식적이고 일반적인 성격을 강조한 브로우튼의 해석을 살펴본다. 브로우튼의 이러한 해석 자체가 틀린 것은 아니지만, 그는 『성찰』의 주체가 갖는 독특한 성격을 간과한다. 반면, 본고는 「첫째 성찰」, 「둘째 성찰」에 대한 검토를 통해서 자아의식의 독특성이 감정의 문제와 밀접히 관련됨을 보인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집착”, “경이”, “수치”의 감정이 「첫째 성찰」, 「둘째 성찰」안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 검토한다. BR 다음으로 본고는 「둘째 성찰」에 나오는 밀랍 조각의 예에 의해 자아의식의 감정적 독특성이 암묵적인 방식으로 긍정된다는 것을 보인다.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밀랍 조각의 예가 이중적인 방식의 형상적 환원이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즉, 밀랍 조각의 예는 개별적 물체에 대한 형상적 환원인 동시에, 개별적 정신에 대한 형상적 환원이다. 개별적 물체에 대한 형상적 환원은 감각과 사물을 구별하지만 사물로부터 감각을 완전히 제거하지는 않는다. 유비적으로, 정신에 대한 형상적 환원도 감정을 정신과 구별하지만 정신으로부터 감정을 완전히 제거하지 않는다. 그리하여 밀랍 조각의 예는 감각이 밀랍의 독특성을 반영하듯이, 감정이 정신의 독특성을 반영한다는 것을 긍정한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174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유가의 범도덕주의에 대한 비판적 성찰 -儒家의 文藝觀을 중심으로-.Hwang Kap Youn - 2013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67:499-524.
Husserl’s Concept of Essence - Focusing on Eidetic Singularity -. 김한샘 - 2023 - CHUL HAK SA SANG - Journal of Philosophical Ideas 89 (89):249-283.
Emotion and Publicness. 이상형 - 2017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8:45-65.
On the Foucault–Derrida Debate of Interpretation of Descartes's Meditations. 손영창 - 2020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2:189-228.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1

Downloads
10 (#1,472,500)

6 months
4 (#1,252,858)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