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ntersection between Ātman and Puruṣa

The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40 (40):203-227 (2014)
  Copy   BIBTEX

Abstract

아트만(ātman)과 힌두 전통에서 윤회의 주체를 구성하는 핵심적인 요소로 간주된다. 반면 푸루샤(puruṣa)는 상키야-요가 학파에서 아트만을 대체하는 용어로 사용되며 영아(靈我)ㆍ순수정신 등으로 번역된다. 아트만과 푸루샤는 상키야 학파 내외에서 동일한 개념으로 통용되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상키야 학파가 힌두전통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아트만이라는 용어 대신에 푸루샤라는 용어를 사용하게 된 경위를 소묘하는 데 있다. 특히 명상을 통해 지각되는 대상으로서의 아트만과 푸루샤의 묘사하는 서술들에 맞추었다. 아트만과 푸루샤가 명상의 대상으로 취급되면서 중요한 분기점을 맞는 것으로 생각되기 때문이다. 초기 우파니샤드에서는 심장의 빛을 아트만이라고 간주하는 계열이 있으며, 그 개념이 고전 요가 체계에도 통용되고 있다. 푸루샤와 아트만은 우파니샤드에서 서로 다른 개념으로도, 동일한 개념으로도 사용되는데, 그것은 생리학적 측면과 표현법의 측면이 각각 두 가지씩 분기점을 지닌다. 또한 수행론적인 측면에서도 상반되는 두 가지 실수론이 우파니샤드에서 공존한다. 마하바라타에서 나타난 푸루샤와 아트만에 관한 기술이 큰 개념적 차이 없이 사용된다. 다만 마하바라타에서 푸루샤와 아트만을 구분하는 맥락은 기본적으로 우파니샤드의 존재-인식 분류법과 동일하다. 그리고 마하바라타의 일부 구절에서는 고전 상키야와 거의 흡사하게 아트만과 푸루샤가 지각될 수 없는 존재라는 것을 명확하게 서술하는 부분이 있으며, 반면 요가를 통해서 지각할 수 있는 존재라고 설명하는 부분도 발견된다. 그리고 그것은 상키야와 요가와 구분되는 사정과 관련이 있으나, 고전 상키야에서 아트만이라는 용어를 폐기하고 푸루샤라는 사용한 경위와는 무관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0,665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The Experience of Virtual Reality in RPG(Role Playing Game). 최지연 - 2008 - The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24 (24):27-50.
Application and Origin of Sāṃkhya Philosophy on the Concept of Karma-yoni. 이영석 - 2012 - The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34 (34):121-143.
A Study on Narada's Bhakti-Yoga Forcusing on Classical Yoga. 주명철 - 2013 - The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37 (37):35-60.
A Critique of the Embedded and Extended Character Hypotheses. 한곽희 - 2024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170:353-379.
Deleuze’s notion of body and Rosi Braidotti’s feminist subject. 김은주 - 2013 - Korean Feminist Philosophy 20 (null):65-94.
Emotion and Morality in Hume's Theory. 박종훈 - 2010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78):211-240.
요가Yoga와 도교Taoism의 불사관不死觀 비교 - 『요가수트라』와 『포박자내편』을 중심으로 -. 소병선 & 김채린 - 2019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92 (92):175-192.

Analytics

Added to PP
2023-02-28

Downloads
8 (#1,577,261)

6 months
5 (#1,011,143)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