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resent State and Development Plan on the Subject Knowledge of High School Moral Subject Education in The Area of Unification and North Koreanology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80):197-229 (2011)
  Copy   BIBTEX

Abstract

지식은 학문 지식, 교과 지식, 학교 지식 세 가지 층위의 지식으로 분류될 수 있다. 학문 지식은 교과를 성립시킨 배경이 되는 학문 분야에서 연구되거나 교육의 내용이 되는 지식을 말한다. 교과지식은 교과에서 필수적으로 가르치고 학습되어야 하는 것으로서 지식, 기능, 가치, 태도를 포괄한다. 학교 지식은 학교에서 정규 수업 단위로 가르쳐지는 교과에서 교수․학습되어야 하는 내용이다. 그 중 교과지식은 교과가 특정 학문 지식의 심화를 배경으로 성립한 경우에, 학문 지식을 근거로 구성된다. 반면에 교과가 특정한 국가․사회적 요구를 배경으로 성립한 경우에, 교과 지식은 교과의 성립 이후 교과 공동체 구성원들이 전개하는 교과의 학문적 정당화 과정에서 설정되기도 한다. 도덕과 교육과정이 후자의 방식으로 설계된 결과 도덕과 교육과정은 타당성, 적실성, 연계성 측면에서 문제점을 드러내 왔다. 학문 지식의 변화를 적절히 반영하지 못함으로써 학문 지식과 큰 간극이 있고, 학습자들의 요구를 적절히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를 안고 있다. 이 문제를 정확히 고찰하기 위해 도덕․윤리 교과지식의 변화를 알아보는 것이 유용하다. 교과 지식의 변화를 알아보는 것은 도덕⋅윤리과 교육과정에 따른 내용의 변천을 알아보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다른 하나로 그동안 도덕⋅윤리 교과의 교과서 내용 변화의 추이를 알아보는 것도 교과지식의 변화 추이를 알아보는 방법일 것이다. 이 논문은 도덕과의 내용영역 중 북한·통일교육 분야에서 교과지식의 변화 실태를 파악하고 새로운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북한·통일 교육 분야에서 교육과정의 변천에 따라 내용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알아보았다. 다음으로 교육과정기 마다 교과서에 실린 내용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살펴보았다. 북한·통일 교육 분야에서 교과 지식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고등학교 교과서를 분석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판단하여 고등학교 윤리·도덕 교과서를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분석을 통해 나타난 문제를 토대로 향후 도덕과의 내용영역 중 북한·통일교육 분야에서 교과지식의 새로운 방안을 모색하였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010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Transdisciplinary Learning in Moral Subject Education. 김영은 - 2019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124):241-267.
A Study on the Issue of the Globalization․Multicultural Age and Direction of Ethics Education. 방영준 - 2010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77):113-135.
The Aspects of Discourse in Moral Instruction in School. 이지명 - 2008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68):273-299.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Instruction focused on ethical inquiry in elementary school. 송영민 - 2010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28 (28):87-116.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Essay Writing in School Moral Education. 서은숙 - 2007 - Journal of Ethics: The Korean Association of Ethics 1 (65):125-154.

Analytics

Added to PP
2016-06-30

Downloads
9 (#1,523,857)

6 months
5 (#1,039,842)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