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ignificance of Study on the Soma as an Entheogen

The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24 (24):167-197 (2008)
  Copy   BIBTEX

Abstract

지난 150년간 소마의 식물적 정체성을 두고 서구에는 적지 않은 연구가 있었다. 아직 결론은 없으나 에페드라설과 광대버섯설이 주류를 이룬다. 이런 도취를 가져오는 식물의 사용은 인간의식의 변성을 가져와 신비체험을 발생시킨다. 일부 연구자들은 이런 신비체험은 베다의 우주관 뿐 아니라 후대의 수행법들에도 일정한 영향을 주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 주제의 연구는 그간 국내에 소개되지 않았다. 그래서 본 논문은 리그베다의 소마 관련 내용과 소마와 도취제의 기존 연구를 간략히 소개하였다. 또 소마 체험이 후대 인도 형이상학과 수행에 끼친 영향이라는 향후의 연구를 염두에 두고 그 기초 연구로서 도취제의 생리적 효과도 간략히 고찰하였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553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Husserl’s Fichte Lectures: Exploring Ethical Humanity. 최우석 - 2024 - Phenomenology and Contemporary Philosoph 101:1-33.
The Study On The Influence Of Oki Mashahiro's Yoga Practice To Korean Yoga. 심준보 - 2015 - The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43 (43):179-216.
Shri Yogendra’s Effect to Modern Yoga. 심준보 - 2019 - The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55 (55):179-205.
Biblical hermeneutics and rhetoric of love developed in Augustine’ 『de doctrina christiana』. 문영식 - 2016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4:157-175.

Analytics

Added to PP
2023-02-28

Downloads
9 (#1,536,898)

6 months
4 (#1,288,968)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