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ttgenstein and Mauthner’s Critique of Language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3:107-126 (2018)
  Copy   BIBTEX

Abstract

비트겐슈타인은 그의 전기 철학의 대표 저작인 『논리―철학 논고』4.0031에서 “모든 철학은 ‘언어비판’이다.(그러나 마우트너의 뜻에서는 아니지만)”라고 말하고 있다. 그렇다면, 그가 생각하는 언어비판이란 과연 무엇인가? 그리고 그가 부정한 마우트너의 언어비판이란 과연 무엇인가? 본 논문에서는 이 둘의 언어비판의 비교를 목적으로 한다. 먼저, 마우트너의 언어비판에 대해서 알아본다. 마우트너는 비트겐슈타인과 동시대에 살았던 인물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철학자, 비평가 겸 저널리스트이다. 그는 『언어비판 논고』에서 언어를 통한 세계인식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언어로 지식을 탐구하는 것은 무용한 일이라고 주장한다. 이를 통해 그는 언어비판으로, 또 극단적 언어회의주의로 나아가며 결국엔 침묵이 우리가 할 수 있는 유일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다음으로, 비트겐슈타인의 언어비판에 대해서 살펴본다. 비트겐슈타인은 자신의 전기 철학에서 모든 철학은 언어비판이라고 한다. 그는 우리가 세계에 대하여 말한다는 것을 사실로 받아들이면서 철학의 문제는 사람들이 언어의 논리를 잘못 이해하고 있는데 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그는 말할 수 있는 것에 대해서는 명료하게 말해야 하고, 말할 수 없는 것에 대해서는 침묵해야 한다는 결론을 이끌어낸다. 즉, 철학의 목적은 말할 수 있는 것과 말할 수 없는 것을 명료하게 구분하는 것이다. 이에 언어분석의 방법을 통해 언어의 논리를 제대로 이해하려는 것이 그의 언어비판인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 둘의 언어비판을 살펴봄으로써 그 차이점을 밝히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0,865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On the Life Which is Shown What Cannot Be Said. 하영미 - 2023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104:393-420.
The Metaphysical Subject and Solipsism. 박정일 - 2022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50:247-277.
Reading Wittgenstein’s Tractatus. 신상형 - 2017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7:259-279.
About Language Constitutes My World.이지중 ) - 2021 - Philosophical Practice and Counseling 11:99-120.
Wittgenstein and Therapeutic Philosophy. 이상룡 - 2017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80:51-75.
Ritual and Seriousness of life: A Study on Wittgenstein's Anthropological Thinking. 김화경 - 2016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82 (82):329-357.
Archetype of Philosophical Counselling in Plato and Aristotle - "Soul Caring" and "Soul Growing". 이상봉 - 2017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7:403-422.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2

Downloads
10 (#1,467,566)

6 months
6 (#851,951)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