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14
    A Study on the Viewpoint of Integrity of Sunam(順庵) An, Jeong-Bok(安鼎福) and its Educational Utilization - Focusing on Imguanjungyoeu(臨官政要)-. 김민재 - 2020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1:63-87.
    본 연구의 목적은 순암 안정복의 『임관정요』에 나타난 ‘청렴’에 대한 관점을 분석하고, 나아가 순암 청렴관의 교육적 활용을 위한 시론을 제시하는 것이다. ⓐ 이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임관정요????를 구성하는 편들 중 「시조」를 순암의 ‘주장’으로, 「정어」를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로 보면서, 두 편의 내용들 가운데 청렴이 강조되고 있는 장들을 선별하였다. ⓑ 이어서 선별된 장들로부터 순암 청렴관의 특징을 도출하였는데, 첫째는 순암이 청렴을 공직자가 항시 염두에 두어야 할 ‘강령의 법’의 으뜸이자 다면적이고 복합적인 성격의 가치로 규정했다는 것이고, 둘째는 맥락과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청렴의 실천은 아무런 효과도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13
    A Study on the Educational Values of Ugye’s Life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Friendship’ and ‘Filial Piety’ -. 김민재 - 2022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9:97-120.
    본 연구에서는 우계의 삶에 나타나는 ‘우정’과 ‘효행’의 양상을 분석하고, 여기에 기초하여 그의 삶이 지니는 교육적 가치에 대해 시론적으로 고찰한다는 목적 아래 논의를 진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먼저 우계의 삶에 나타난 ‘우정’의 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는 형식적인 관계 맺음을 지양하고 상대방을 세밀하게 관찰하면서 배려 · 희생하였고, 우정의 심화 · 확장을 위해 때로는 상대방과 거리 두기를 하고 또 때로는 적극적으로 자기반성을 하였으며, 거의 완성에 다다른 우정을 맺은 친우에 대해서는 예의를 지키면서도 격의 없이 대했다. ⓑ이어서 본 연구에서는 우계의 삶에 나타난 ‘효행’의 양상에 대해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9
    A Study on the Practice of ‘Filial Piety(孝)’ and ‘Respect for Teachers(尊師)’ of AeIlDang(愛日堂) Min, Jin-Gang(閔鎭綱). 김민재 - 2023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14:53-77.
    본 연구의 목적은, 『사백록(俟百綠)』의 편자요 『초산일기(楚山日記)』의 기록자로 알려진 애일당(愛日堂) 민진강(閔鎭綱)의 시대 및 생애를 살펴보고, 나아가 그의 삶에서 나타나는 효도(孝道)와 존사(尊師)의 실천 모습을 고찰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해, ① 본 연구에서는 먼저 그의 시대와 행적을 살펴보았다. 예송(禮訟)논쟁과 환국(換局)정치, 옥사(獄事) 등으로 점철된 시대를 산 민진강은 송시열(宋時烈) 학맥에 속해 있었으므로, 인물 그 자체만으로 온전히 평가받기에는 어려웠을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그의 유년기와 청⋅장년기는 특별한 일 없이 학업과 일상 속 덕행이 삶의 중심을 이루었다. 그러나 노년기에 시작된 관직 생활에 있어서는, 종3품의 남원 부사(南原府使)까지 승진하였으나, 행정력과 도덕성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4.  8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SinDok(愼獨)-centered Teaching-Learning Theory. 김민재 - 2016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85:19-48.
    본 연구의 목적은 유가 수양론의 핵심 개념 중 하나인 ‘신독(愼獨)’의 의미를 탐색하고, 여기에 기초하여 신독을 중심으로 한 교수학습이론의 정립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신유학 등장 이전과 이후 및 조선 시대 유학자들의 신독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이 개념이 어떻게 해석되어 왔는지를 살펴보았다. 신유학 등장 이전과 관련해서는 순자와 정현의 신독 이해를, 신유학 등장 이후와 관련해서는 주희와 왕수인의 신독 이해를, 그리고 조선 시대의 유학자들과 관련해서는 이황과 정약용의 신독 이해를 탐색하였다.BR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는 신독 중심의 교수학습이론의 정립 방향에 대해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5.  9
    Study on the Moral Educational Utilization and Plan for Jingzuo Method suggested by Yan Ping. 김민재 - 2018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4:87-110.
    본 연구의 일차적인 목적은 주희의 스승으로 알려진 이연평이 제시했던 정좌법을 살펴보고, 여기에서 도덕교육적 활용 가능성과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유교 명상법이 지니고 있는 현대적 가치를 드러내려는 것이다.BR 이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연평 사상의 계보와 특이점 및 그가 제안했던 정좌의 목적과 방법 등에 대해 언급하였다. 연평의 사상은 도남학풍을 계승하고 있지만, 사색과 궁리를 중시한다는 점에서 도남학풍과는 일정 이상의 차이점을 보여준다. 그는 정좌를 통해 ‘쇄락’과 ‘융석’의 상태를 지향하였는데, 이 상태에서는 마음에 의심이나 걸림이 없으며, 일상의 행위 역시 조리에 맞고 자연스럽다. 연평은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6.  5
    The Interpretation of ‘Wang Shouren´s Mind Study’ from the Perspective of Moral Education. 김민재 - 2017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0:75-104.
    본 연구의 목적은 도덕과 교육과정과 교과서들에 기술된 왕수인 사상의 실태를 점검하고, 그가 제시했던 마음공부의 강령들을 도덕교육의 관점에서 해석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작업들을 통해 도덕교육에서 양명학이 지니는 가치에 대해 드러낼 것이다. ① 이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도덕과 교육과정과 『윤리와 사상』 교과서 내에 기술된 왕수인의 사상에 대해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그의 사상이 정형화된 배경을 추측하였다. 현행 『윤리와 사상』 교과서들은 5종에 이르는데, 모두 왕수인 사상과 주희 사상의 대립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특히 심즉리⋅치양지⋅지행합일의 소개에만 내용을 할애하고 있다. 이런 현상이 발생한 이유는, 근본적으로는 교과서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