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8
    A Study on Kim Do’s Juyeokcheonseol from the Perspective of the Book of Changes in Terms of Morality. 김영우 - 2014 - 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 42 (42):489-513.
    본 논문은 조선 중기 학자 金濤(1580~1646)의 『주역천설』의 의리적 역 해석에 관해 연구한 것이다. 『주역천설』은 六十四卦의 「大象傳」만을 대상으로 그에 대한 저자 자신의 해석을 서술한 저술이다. 공자 십익 가운데 하나인 「대상전」은 군자의 도덕 수양과 정치적 실천의 내용을 주로 담고 있어, 주자의 『근사록』, 남명의 『학기유편』, 율곡의 『성학집요』의 경우처럼 유학자들의 저술에서 전거로서 자주 인용되었다. 『주역천설』은 유학자들이 자기 사상을 피력하기 위한 전거로 주로 인용하던 「대상전」만을 대상으로 한 최초의 저술이라는 의의를 갖는다. 그런데 김도는 『주역천설』을 편찬하면서 「대상전」의 원문 자체에 대한 주석이나 정확한 해석에 관심을 두기보다는 주로 그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5
    『尤庵易說』 연구. 김영우 - 2013 - 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 40 (40):87-113.
    본 논문은 조선 역학의 상수역 전통에 대한 종합적 이해를 위해 송시열의 저작으로 알려진 『易說』의 역 해석 방법을 연구한 것이다. 『역설』은 송시열의 저작이라는 점과 『주역』 경문 전체를 상수역학의 방법에 따라 해석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 저술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기존 연구에서 송시열의 저술로 받아들여져 온 『역설』이 실은 송시열의 저작이 아님이 본 연구를 통해 판명되었다. 우암의 저작으로 알려져 온 이 저술은 송시열 사후 오랜 시간이 지난 18세기 중반에야 만들어진 저술이었다. 그러나 이 책이 우암과 전혀 관계없는 것은 아니며 적어도 우암의 역 해석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7
    Tasan on Benevolence (Ren). 김영우 - 2012 - 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 38 (38):177-204.
    본고에서는 수기(修己)의 가치를 놓치지 않으면서도 목민(牧民)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던 다산 정약용의 고심을 인(仁)에 대한 그의 새로운 해석을 통해 고찰해 보았다. 다산은 인(仁)의 문자적 의미를 두 사람 사이의 관계에서 각자 본분을 다하는 것으로 해석하지만 인(仁)의 실천은 상대방에 대한 요구가 아니라 자기 수양〔自修〕에서 비롯해야 한다고 보았다. 이는 주자가 치인에 앞서 수기를 보다 근본적인 것으로 설정했던 것과 유사한 생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다산은 인(仁)을 실천하기 위해 수기(修己)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보면서도 수기가 성리학의 함양(涵養)과 같이 내면 위주의 수양이 되어서는 안 된다고 비판한다. 정약용은 성리학의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