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4
    How is the change of Scotus’s theory on the will’s motion to be understood? 김율 - 2018 - The Catholic Philosophy 31:127-155.
    스코투스는 옥스퍼드 강독집에서 의지와 지성이 의지운동의 공동 작용인이라고 주장했으나, 후기의 파리 보고록에서는 의지가의지운동 전체를 일으키는 유일한 작용인이라고 가르쳤다. 이 논문의 목적은 이러한 이론 변화의 의미와 원인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헨리쿠스에 대한 스코투스의 비판 논변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주로 검토한다. 대상을 필요원인으로 간주하는헨리쿠스의 견해가 강독집에서 명시적으로 기각됨에 비해, 보고록에서는 헨리쿠스의 견해에서 귀결된다고 가정되었던 난점들에 대한 적극적 해결이 모색된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는 스코투스가 헨리쿠스와 동일한 극단적 주의주의의 노선으로 사고의 방향 전환을했다는 의미는 아니다. 이러한 변화는 지성과의 연결에 의존하지않고 의지를 그 자체로서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16
    John Duns Scotus on Intuitive Cognition. 김율 - 2023 - CHUL HAK SA SANG - Journal of Philosophical Ideas 87 (87):3-27.
    이 논문의 목적은 둔스 스코투스의 직관적 인식 개념의 역사적 의미를 설명하는 것이다. 스코투스에 따르면 직관적 인식은 다음의 두 조건이 충족될 때 성립한다. 즉 대상이 실존하며, 대상이 인과적 대리물을 통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제시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추상적 인식이란 두 가지 조건 중 어느 하나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인식이다. 스코투스 시대까지 일반적인 관점은, 적어도 현세적 삶에서 추상은 지성의 주요할 뿐 아니라 유일한 작용방식이라는 것이었다. 그러나 스코투스는 추상과 직관의 구별을 감각뿐 아니라 지성적 인식에도 적용되는 구별로 본다. 지성적 직관에 대한 스코투스의 통찰은 중세 개별자 인식의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Peter John Olivi on Free Decision. 김율 - 2024 - philosophia medii aevi 30:283-382.
    페트루스 요한네스 올리비는 『명제집주해』 제2권 제57문에서 인간에게 자유결단이 존재함을 증명하기 위해 세 가지 논변 전략을 취한다. 첫째, 분노, 친애, 영광, 수치 같은 인간의 감정을 분석하여, 이런 감정이 자유결단의 능력을 전제로 성립함을 보인다. 둘째, 비교와 탐구, 반성, 오류와 조절 같은 심리적 현상의작용 방식과 성질을 분석하여, 그러한 현상이 자유결단의 존재를 웅변하고 있음을 보인다. 셋째, 자유의지가 없다면 벌어질 부조리를 지적하는 귀류법적 논증을 펼친다. 올리비에 따르면, 의지는 목적을 스스로 설정하는 능력이며 자기 운동하는 유일한 능력이다. 친애의 사랑이나 명령의 경험은 의지의 이러한 고차성을 단적으로 드러낸다. 지성의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4.  12
    Peter John Olivi on Usury and Capital. 김율 - 2021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4:85-108.
    이 논문의 목적은 페트루스 요한네스 올리비를 중심으로 스콜라 경제철학에서 자본 개 념이 출현하는 맥락과 그 개념의 의미를 규명하는 것이다. 자본 개념이 생겨난다는 것은 대부 비판이 상대화된다는 것을 뜻하지 않는다. 대부는 여전히 규범적으로 비난받으며, 다 만 자본 개념은 대부 개념을 정교하게 제한하는 과정에서 등장한다. 자본을 단순한 돈과 구별 짓는 기준은 그 소유자가 상업적 투자 의도를 확고하게 가지고 있었는지 여부다. 자 본이라는 종자적 원인 은 자본가의 손에서 상업과정 속으로,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상인 의 손으로 이전되어 이윤 창출의 운동을 실현할 수 있는 도구적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5. William Ockham on Intuitive Cognition: Translation and Commentary on the Prologue of Ockham’s Ordinatio. 김율 - 2023 - philosophia medii aevi 29:331-405.
    『명제집주해』 서문 제1문은 직관적 인식과 추상적 인식의 구별에 대한 오컴의 사상을 가장 뚜렷하게 관찰할 수 있는 텍스트다. 여기서 제시되는 직관/추상의 구별을 해설하는 것이 본 연구번역의 목적이다. 오컴에 따르면, 직관은 우연적 진리에 대한 명징한 판단을 본성상 산출할 수 있는 인식이며, 추상은 그러한 본성을 갖지 않은 인식이다. 오컴은 직관과 추상이라는 두 종류의 인식이 존재한다는 점을 가지자라고 부르는 심적 사실을 통해 증명한다. 또한 그는 이 구별에서 인식 대상의 인과성이 어떤 역할도 하지 못함을 강조한다. 사물이 실존하지 않아도 직관적 인식 자체는 존재할 수 있으며, 따라서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