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14
    The Second Synthesis and Two Forms of Repetition in Difference and Repetition. 변예은 - 2024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44:27-52.
    질 들뢰즈(Gilles Deleuze)의 대표적 저작 『차이와 반복』(1968)은 ‘차이’와 ‘반복’이라는 두 개념에 있어서의 잘못된 이해의 역사를 규탄하고, 두 개념의 올바른 정의를 바로 세운다는 목표 하에 쓰인 책이다. 즉 반복 개념에 주목해본다면, 책을 관통하는 것은 ‘재현의 반복’에 대한 비판과 이를 대신하는 ‘차이의 반복’의 개념화다. 본고는 책의 2장에 등장하는 세 가지 종합의 기술 안에서 이 두 형태의 반복 개념이 등장하는 양상을 다루고자 하며, 이러한 본고의 관심사가 주목하게 되는 것은 세 번째 종합 중 두 번째 종합이고, 그것의 이중적 구조다. 본고는 두 번째 종합을 특징짓는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4
    Pure form of time in the philosophy of Kant and Deleuze. 변예은 - 2024 - CHUL HAK SA SANG - Journal of Philosophical Ideas 93 (93):113-142.
    본고는 칸트 초월철학이 성취한 코페르니쿠스적 전회의 첫 장면을 이루는 직관의 순수형식으로서의 시간에서 출발한다. 그리고 이 개념을 질 들뢰즈가 자신의 시간 개념 안에 수용하고, 심지어 자신이 내세우는 아이온의 시간성을 ‘시간의 형식’이라는 용어로 지칭한다는 점에 주목한다. 우리는 어떤 점에서 들뢰즈의 시간 개념이 초월적 감성학에서의 시간의 형식을 계승하는지를 소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칸트의 시간 형식 개념은 첫째로, 시간이 외부 사물들의 운동에서 발견되지 않음을, 둘째로, 시간은 따라서 잇따름(succession)이라는 경험적 시간으로 나타나기 전 순수 형식일 뿐임을 함축한다. 또한 셋째로, 이 형식이 외적 현상들에 적용되어 그것들이 비로소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1
    Bergson, Philosopher of Difference or Philosopher of Repetition? - Focusing on Deleuze’s Interpretation in His Early Writings -. 변예은 - 2024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61:121-147.
    본고는 질 들뢰즈(Gilles Deleuze)의 앙리 베르그손(Henri Bergson) 독해에서 한 가지 문제를 이끌어내는 것에서 출발한다. 그것은 1956년의 두 논문, 그 중에서도 대표적으로 「베르그손 철학에서 차이의 개념」에서 들뢰즈가 베르그손 독해를 통해 무엇보다 차이의 개념화를 이끌어냈던 것과 달리, 1968년 출간된 『차이와 반복』에서는 베르그손이 왜인지 차이의 철학의 전경에는 배치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가장 상징적으로 베르그손은 시간의 세 가지 종합과 함께 구분되는 세 가지 반복의 형태 중, ‘물질적 반복’에 해당하는 첫 번째 종합을 설명하고, 그리고 무엇보다 아직 차이의 역량에 해당하는 ‘발산’과 ‘탈중심화’와 만나지 못한 단조로운 ‘정신적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