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8
    Kim Chang-joon’s Christianity, Nationalism, and Socialism. 심의용 - 2021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7:155-178.
    기독교와 사회주의는 19세기와 20세기에 수용된 종교와 사상이다. 기독교와 사회주의 는 민족해방과 통일이라는 공0동의 목적으로 함께 연대했던 민족해방운동의 사상적 토대 였다. 현재 남한과 북한이 적대와 분열을 넘어 화해와 통일을 지향해야할 때 남한의 기독 교는 사회주의와의 만남이 필요하고 북한의 체제는 다양한 종교의 인정이 필요하다. 이런 맥락에서 김창준은 주목할 만하다. 흔히 김창준은 ‘기독교민족사회주의자’로 평가받지만 월북이라는 과거의 전력 때문에 빨갱이 목사로 매도된 인물이다. 선행 연구는 김창준이 왜 기독교민족사회주의자로 평가받는지에 대해서 입체적으로 연구하지는 못했다. 본 논문은 김창준을 다소 연결되기 어려운 기독교, 민족주의, 사회주의를 연결하여 ‘기독교민족사회 주의자’로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8
    『The schoolbook of Psychology』 and the Enlightenment in Colonial Period. 심의용 - 2020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1:199-221.
    『심리학교과서』는 이용익(李容翊)이 설립한 출판사 보성관(普成館)에서 1907년 7월 30일에 발행한 교육용 교과서이다. 『심리학교과서』는 한국 최초의 심리학 교과서이다. 보성관은 애국계몽의 일환으로 교육용 교과서 이외에 다수 책들을 번역하며 계몽 활동을 펼친 출판사이자 사상운동의 거점이었다. 『심리학교과서』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논문은 『심리학교과서』를 일본이 서양 문명을 수용하고 번역하는 맥락과 그것을 수용하고 번역하는 식민지 조선의 맥락을 동시에 고려하면서 고찰할 것이다. 먼저 일본에서 심리학을 수용하는 과정에 전통 유학의 사유가 상호 접촉하여 심리학을 논의하는 틀이 형성되는 과정을 살펴보고 『심리학교과서』에는 그 틀이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논의할 것이다. 그리고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11
    The theory of emotions in Sheng yi sim’s The change of human and spinoza. 심의용 - 2018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83:103-127.
    The subject of this article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meanings of the sentiments in Spinoza’s Ethica and sheng yi sim’s The change of humans. The problem of emotion in modern society is an important social problem. In this atmosphere, Spinoza is attracting attention. Modern society emphasizes desire and emotion rather than reason. Emotions should now be viewed from a positive perspective, not a negative view. The study of emotion in the 20th century was largely dominated by cultural theory.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