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12
    An acceptance of the social in the political action. 윤은주 - 2015 - Korean Feminist Philosophy 23 (null):181-206.
    이 글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학』에 나타난 시민의 본성으로서 자유에 대한 논의에서 시작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본성적으로 자유민인 시민과 본성적으로 종속적인 노예를 구분하면서, 정치적 행위자로서의 시민을 규정한다. 이것은 정치적 행위를 위해 경제적 안정이 전제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정치와 경제의 분리를 논할 수 있었던 과거와는 달리, 현대 사회의 중요한 정치적 과제는 대부분 경제적 영역과 연관되어 있다. 이처럼 공적 논의가 사적 관심인 경제적 문제에 집중하는 것을 아렌트는 사회적인 것의 등장으로 보았으며, 이 때문에 정치의 본래적 의미가 상실되었다고 본다. 하지만 경제적 문제를 배제할 수 없는 현대 사회에서는 오히려 경제적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6
    Recognition of difference in the political action - the relation of speech-hearing. 윤은주 - 2013 - Korean Feminist Philosophy 20 (null):181-206.
    인간은 언어활동을 통해 자기 존재를 인식하고 서로를 이해한다. 불편부당성의 태도로 정신의 확장을 가져오는 사유를 통해 인간은 언어활동의 내용을 확보하고 그것을 말과 글로 표현한다. 특히 말에 있어 말하기-듣기의 의사소통적 행위는 정치적 자유와 평등의 실현을 가능하게 하는 토대가 된다. 의사소통적 행위에서, 말하는 이는 자신의 이야기를 상대가 듣고 이해하여 자신의 의견을 제시할 수있는 듣는 이의 능동적 태도를 요구한다. 듣는 이가 능동적으로 참여하게 되면 말하기-듣기의 관계는 결론에 대한 이해만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더 나은 것을 향하길 바라는 열린 마음과 태도를 갖게 한다. 또한 다양한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14
    The Criticism of the Politicized Disgust Expression: Focusing on the Yemeni Refugee Case in Jeju. 윤은주 - 2022 - Korean Feminist Philosophy 37:1-25.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