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ti-ideological ideology Controversy on the possibility of the philosophy of medicine: focusing on the debate between Boorse and Engelhardt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42:199-227 (2020)
  Copy   BIBTEX

Abstract

‘가치독립적 개념으로서의 질병’과 ‘가치함축적 개념으로서의 질병’은 질병을 이해하는 의철학의 대표적인 두 입장이다. 그리고 각각의 입장을 대변하는 자연주의와 규범주의 사이의 논쟁은 의철학의 전통적인 논쟁 중 하나로서 오늘날까지도 계속되고 있다. 특히 1974년부터 1981년까지 다수의 논문을 통해 이루어진 부어스와 엥겔하르트간의 철학적 대화는 의철학의 역사와 함께 할 이 논쟁의 기본 골격을 마련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본 논문은 부어스와 엥겔하르트의 논쟁을 중심으로 질병과 건강 개념을 둘러싼 자연주의와 규범주의의 대립이 내포하고 있는 철학적 의미, 특히 의철학의 가능성과 관련된 의미를 조명하고자한다. 논문이 입증하고자하는 주장은 다음의 세 가지다. 1)질병개념을 둘러싼 논쟁은 의철학의 가능성 문제와 불가분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실제로 2)질병을 가치독립적 개념으로 확립하고자하는 부어스의 노력은 의철학을 생물학의 철학에, 보다 근본적으로는, 의학을 생물학에 종속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다. 그런데 3)질병을 가치독립적 개념으로 확립하려는 부어스의 노력은 다분히 의도적이고, 따라서 가치함축적이다. 부어스의 가치독립적 질병개념은 가치함축적 개념이다. 즉 모순이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553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Epistemological Naturalism and the Permanent Possibility of Mistakes. 이병덕 - 2019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40:101-124.
Deleuze and Badiou’s Concept of Multiplicity : From the Dispute of the Two Philosophers. 장태순 - 2017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17:169-189.
Therapeutic Effects of Ṣaṭkarma: focused on Gheraṇḍa-Saṃhitā. 김재민 - 2017 - The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51 (51):65-100.
An Examination of Moral Realism. 이대희 - 2024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17:141-164.
Choson Confucianism in American Academy. 성동권 - 2009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57 (57):411-459.

Analytics

Added to PP
2023-01-12

Downloads
12 (#1,384,505)

6 months
5 (#1,091,584)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