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zing perspectives on Won-hyo’s enlightenment by Comparing Daeseung gisillon so-byeolgi Verses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103:105-127 (2023)
  Copy   BIBTEX

Abstract

이 연구는 『대승기신론』에서 본각/시각/불각의 체계로서 제시되고 있는 깨달음에 대한 원효의 이해와 해석을 주제로 삼는다. 원효는 『별기』와 『소』 두 번에 걸쳐 그의 이해와 해 석을 서술하였으므로, 이 양자 사이에 존재하는 서술의 차이는 그의 관점이 형성되고 변화 되어 정립되는 과정을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기신론』의 본각/시각/불각의 체계에서 ‘시각始覺의 의미에 대한 원효의 이해와 해석’ 을 분석의 중심으로 삼아 그의 깨달음관의 특성을 밝히기 위해 양자의 서술차이를 비교대 조하여 분석한다. 『소』가 작성되면서 삭제/첨가를 기본으로 수정 보완된 내용과 전면 개작 된 내용 등의 층차를 구분하여, 이들 차이에서 발견되는 관점의 변화 또는 사상이 심화되 는 과정을 밝히려는 것이다. 양자의 대조를 통해 드러난 사실은 『별기』의 내용이 『소』에서 삭제한 경우에 내재된 원 효의 의도이다. 처음에는 이른바 통삭제한 내용을 ‘부족 또는 오류’라고 보았지만, 본론에 서 밝힌 것처럼 특정한 주제어로 분석해보면 오히려????별기????의 내용을 토대로 핵심내용만 을 더욱 간결하고 선명하게 서술한 경우가 드러난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원효의 사상적 발전을 읽어내는 데 세밀한 분석과 해석이 필요한 것이다. 시각始覺을 주제어로 삼아, 『별기』와 『소』 양자 사이에서 발견되는 변화를 발굴한 결 과, ‘무자성無自性’과 ‘이공二空’, ‘무분별지無分別智’라는 말을 통해 본각/시각/불각의 상 호관련성과 상호의존성을 강조하는 수준에 머물지 않고, 『기신론』에서 구분한 깨달음의 세 가지 모습은 관점에 따른 한 측면이라는 점을 ‘무자성無自性’이라는 말로 전면에 내세 운 태도가 드러났다. 원숙해진 원효의 화쟁철학이 지향하는 바가 드러난 대목인 것이다.

Other Versions

No versions found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101,459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Issues and Direction of the Study on the Taesŭngkisillon pyŏlgi. 김지연 - 2023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104:109-136.
Actualization of enlightenment and Apology. 김상록 - 2021 - Phenomenology and Contemporary Philosoph 91:1-41.
Final Enlightenment and Eros. 김상록 - 2022 - Phenomenology and Contemporary Philosoph 95:121-159.
WonHyo(元曉)’s ‘Inter-Opening and Inter-Reception’(通攝) Philosophy of Differences. 박태원 - 2021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4:391-440.
Kim Chang-Hyup and Kim Kan's Debate on Theory of Jigak(知覺). 이선열 - 2010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62 (62):39-77.
A Study on the Tathāgata-garbha Thought of Kukai: Mainly Focused on Jeuksinseongbuleui(卽身成佛義). 이석환 - 2017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84 (84):115-138.
Philosophical Discussion about『Yanghwa - Sorok』. 김희 - 2007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52 (52):329-354.
Zhou rudeng’s Doctrine of Mind and Nature. 이상훈 - 2017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79:239-261.

Analytics

Added to PP
2023-07-25

Downloads
10 (#1,479,591)

6 months
4 (#1,272,377)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